청사 내부 공간 부족 탓에 대구지역 기초자치단체의 별관 의존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부서 신설과 공무원 수 증가 등으로 외부 건물을 임차해 별관으로 활용하는 고육지책을 쓰고 있지만, 해마다 억대의 임차료를 지불하고 있어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3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현재 외부 건물을 빌려 별관을 운영하는 대구의 기초단체는 동구, 남구, 북구, 수성구 등 4곳이다. 이들 지자체가 별관으로 사용하는 사무실의 한 해 임차료는 약 5억5천500만원(관리비 포함)에 달한다.
구별로는 동구가 2개 건물(2020년 입주)을 임차하면서 연간 2억100만원을 내고 있다. 이어 수성구 1억8천600만원(1개 건물, 2019년) , 남구 7천200만원(1개 건물, 2021년), 북구 9천600만원(1개 건물, 2023년)을 부담하고 있다.
월별로는 동구 1천675만원, 수성구 1천550만원, 북구 800만원, 남구 600만원의 임대료를 내고 있다.
청사 내부 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청사를 건립하는 방안이 대안으로 거론되지만, 구정 상황이 녹록지 않다.
수성구가 최근 현 청사를 범어공원으로 이전하겠다고 발표했지만, 다른 지자체들은 엄두조차 내지 못하고 있다.
동구는 K2 군 공항이 빠져나간 후적지에 신청사 이전이 거론되고 있지만 10년 이상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
신청사 건립이 숙원사업인 남구도 지역 내 마땅한 부지를 확보하지 못하다가 지난 8월 현 청사 부지와 강당골 등을 대상으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용역을 발주했다. 남구는 그동안 미군 군대 반환 부지를 고려했으나 최근 방향을 바꿨다. 절차대로 진행된다면 오는 2029년 완공이 예상된다.
수성구도 오는 2029년 신청사 완공을 목표로 함에 따라 최소 5년 이상은 현재 별관을 사용해야 한다. 이 기간 내야 할 임차료만 9억원이 넘는다.
지난 2016년 본청 건물을 리모델링한 북구는 신청사 건립 없이 현 상태로 유지할 계획이다. 증축이 가능하지만, 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당분간 증축 계획도 없는 상태다.
한 구청 관계자는 "최근 몇 년 동안 안전 및 복지 행정 수요가 대두되면서 관련 부서의 신설이 잇따랐다. 특히, 복지 수요의 비중이 꾸준히 늘어나 공무원 수도 증가했다"며 "신청사를 짓지 않는 이상 현재 별관 활용 기조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김종윤기자 bell08@yeongnam.com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