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회가 민주화 이후 깊어진 갈등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진보-보수, 정규직-비정규직, 근로자-경영자, 빈곤층-부유층, 수도권- 비수도권 등 갈등 양상도 다양하다. 이 중에서 정치적 갈등이 가장 문제가 된 지 오래다. 실제로 5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 조사 자료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9명이 진보-보수 간 갈등을 우리사회의 심각한 갈등 1순위로 꼽았다. 특히 국민 33%는 정치 성향이 다르면 술자리를 함께 하지 않겠다고 했고, 연애나 결혼을 고려하지 않겠다는 응답도 58%나 됐다. 정치적 갈등이 개인의 일상적 관계와 사회적 유대까지 파괴하고 있는 것이다.
보사연 자료는 지난해 6~8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다. 만약 지난해 12월 이후의 계엄과 탄핵 정국까지 반영됐다면 어쩌면 모든 국민이 진보-보수의 강 대 강 대치를 가장 위험한 사회갈등으로 봤을 게 분명하다. 정치권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진보와 보수 가릴 것 없이 저질 정치가 판친다. 국민 통합을 위해 갈등 조정에 나서기는커녕 진영논리로 되레 갈등을 부추긴다. 상대를 적으로 규정하고 악마화시키기에 바쁘다. SNS와 각종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가짜뉴스와 혐오 표현은 활활 타오르는 정치 싸움에 기름을 끼얹는다.
우리사회의 정치 갈등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섰다. 좌우 이념 대결이 극단적으로 치달으면서 대통령, 정부,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등 국가기관의 공신력마저 크게 훼손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진보, 보수를 떠나 대한민국 전체가 공멸의 길을 걸을 수도 있다. 그때 가서 진보와 보수의 잘잘못을 따지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나. 더 이상의 자해 행위는 안된다. 국민통합을 위한 정치권의 통렬한 각성이 요구된다.
보사연 자료는 지난해 6~8월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것이다. 만약 지난해 12월 이후의 계엄과 탄핵 정국까지 반영됐다면 어쩌면 모든 국민이 진보-보수의 강 대 강 대치를 가장 위험한 사회갈등으로 봤을 게 분명하다. 정치권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진보와 보수 가릴 것 없이 저질 정치가 판친다. 국민 통합을 위해 갈등 조정에 나서기는커녕 진영논리로 되레 갈등을 부추긴다. 상대를 적으로 규정하고 악마화시키기에 바쁘다. SNS와 각종 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는 가짜뉴스와 혐오 표현은 활활 타오르는 정치 싸움에 기름을 끼얹는다.
우리사회의 정치 갈등은 이미 위험수위를 넘어섰다. 좌우 이념 대결이 극단적으로 치달으면서 대통령, 정부, 국회, 법원, 헌법재판소 등 국가기관의 공신력마저 크게 훼손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진보, 보수를 떠나 대한민국 전체가 공멸의 길을 걸을 수도 있다. 그때 가서 진보와 보수의 잘잘못을 따지는 게 무슨 의미가 있겠나. 더 이상의 자해 행위는 안된다. 국민통합을 위한 정치권의 통렬한 각성이 요구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