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기획재정부 제공.
정부가 인공지능(AI) 분야를 국가전력기술로 지정하고, 국가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AI 글로벌 3대 강국(G3)으로 도약하겠다는 복안을 내놨다. 이를 위해 국가대표 AI팀을 선발해 세계최고의 AI 모델을 개발한다는 각오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은 20일 열린 제3차 국가AI위원회에서 “글로벌 AI 환경이 급변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지만, 우리에게는 새로운 기회"라며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민관이 힘을 모아 국가 AI 역량 강화를 빠르게 추진해야 할 중대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AI 컴퓨팅 자원 및 데이터 등 인프라를 확충하고, 전면적으로 AI를 산업화 하는 등 국가적 차원에서 'AI 전환'을 가속화한다는 목표다.
최상목 권한대행은 “국가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우리나라가 AI G3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정부는 빠른 시일 내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집중 지원하고, 핵심인재 양성과 해외 우수인재 유치를 강화하겠다"고 약속했다.
구체적으로는 AI 국가대표 정예팀을 선발해 세계 최고 수준의 대형언어모델(LLM·엘엘엠) 개발을 목표로 데이터· GPU(그래픽처리장치) 등 '월드 베스트 엘엘엠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더불어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 1조원 규모의 범용 인공지능(AGI) 핵심원천 기술 확보에도 나선다.
또 현장의 시급한 AI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까지 1만8천장의 고성능 GPU를 확보하고, AI를 조세특례법상 국가전략기술로 지정해 인공지능데이터센터를 포함한 AI 밸류체인 전반에 세제혜택을 줄 방침이다.
아울러 AI학습을 위한 양질의 공공·민간 데이터도 대폭 개방하고, 범죄 예방 등 공익 AI 개발을 위한 개인정보 활용 근거도 마련한다.
의료·국방 등 민간분야의 합성데이터와 생성형 AI 고도화를 위한 미디어, 산업·제조, 금융 등 분야별 특화 데이터도 구축해 개방한다.
AI 선도 프로젝트로 국내 기업이 개발한 AI 서비스의 저변 확대를 도모하는 한편, 의료, 법률, 미디어 등 산업 파급력과 대국민 체감이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부처 협업을 통한 생성형 AI 기반의 서비스도 개발한다.
AI 공급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AI 스타트업 성장도 지원한다. 정부는 기업간 협력 방식의 AI 모델 개발을 지원해 제조, 금융 등 분야별 AI 서비스 전문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제조 AI 전문기업 100개를 지정해 기업당 최대 100억원 규모의 융자·보증 등 자금, 인력, 판로 확대 등을 집중 지원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5조7천억원의 정책 금융을 지원하고, 약 3조원 규모의 AI 집중펀드도 조성·운용해 AI 스타트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