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대병원 전경
경북대가 의대생 복학 인원을 끝내 공개하지 않기로 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같은 날(21일) 등록 마감을 맞은 연세대나 고려대가 수백 명 단위의 복귀 사실을 확인해준 것과 달리, 경북대는 “학생 보호"를 이유로 복귀 현황을 철저히 비공개로 일관했다.
단순한 무대응이 아니라, 철저히 계산된 '침묵의 메시지'라는 분석이 나온다.
가장 큰 이유는 민감해진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학생 개개인의 결정을 '정치적 입장'으로 해석하는 외부 시선 때문이다.
의과대학 학생단체가 복귀 거부를 공식화한 이후, 복학 여부는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단체 노선에 동참하느냐 이탈하느냐를 가늠하는 잣대처럼 비쳐왔다.
복귀자가 특정될 경우, 해당 학생은 동료들로부터 '탈동조자'로 낙인찍힐 수 있는 구조다.
학교 측이 수치를 숨긴 이유는 학생을 사회적 압박으로부터 보호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또한 복귀 수치가 외부에 공개될 경우, 남은 학생들에게 '다들 돌아왔는데 너는 왜 안 돌아오느냐'는 간접적 압박이 작용할 수 있다.
복학을 고민 중인 학생들의 자율적 판단이 흐려지고, 선택의 자유가 침해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경북대는 의도적으로 '비언론 전략'을 택한 셈이다.
내부 갈등을 차단하려는 목적도 크다.
복귀율이 학년별로 다를 경우, 학내 구성원 간 책임 소재를 두고 갈등이 생길 수 있다.
일부 학년이나 계열이 복귀를 주도하거나 지체한 것으로 알려질 경우, 내부 비난이 불거질 수 있기 때문이다.
수치가 알려지지 않으면 논란도 발생하지 않는다.
학교는 학생 간 충돌을 원천 차단하고 있다.
이와 함께, 정부 정책과의 건강한 거리두기 전략도 읽힌다.
교육부는 '의대생 전원이 복귀할 경우' 의대 정원을 동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각 대학이 복귀율을 경쟁적으로 알릴 경우, 자칫 정부 정책에 줄을 서거나 성과를 과시하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
경북대는 복귀는 유도하되, 정원 논쟁의 전면에는 서지 않겠다는 신중한 행보를 택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북대는 복귀를 독려해왔다.
13일에는 총장 명의의 가정통신문을 통해 “휴학 만료일이 지난 학생은 21일까지 복귀하지 않으면 제적된다"고 경고했고, 등록 마감일인 이날 오전에는 예과생 대상 긴급 간담회까지 열었다.
그러나 복귀 인원을 끝내 밝히지 않음으로써, 학사 정상화라는 실리를 취하되 학생 보호라는 명분도 놓치지 않았다.
숫자를 말하지 않겠다는 경북대의 전략은 결국 하나의 메시지를 던진다.
“복귀는 학생 각자의 선택이며, 학교는 그것이 존중받는 공간이어야 한다." 강한 목소리 대신 절제된 침묵으로 갈등을 막고 있는 것이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