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건 대구 동구의원. <대구 동구의회 제공>
영농 부산물 및 폐기물이 산불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 가운데, 대구 동구의회에서 관련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최건 동구의원은 27일 제342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영농폐기물 수거 및 처리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영농폐기물은 농사를 짓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비닐, 폐농약용기, 폐부직포, 차광막 등을 일컫는다. 환경부 설명에 따르면 농작물 재배 과정에서 발생하는 뿌리, 줄기 등 생물성 부산물도 이 '폐기물'에 해당한다.
최 구의원은 “2022년 기준 대구에서 발생한 영농폐기물은 폐비닐 약 1천500톤, 폐농약용기 17만여개에 달하지만, 회수율이 낮다. 폐부직포나 차광막 등 기타 폐기물은 발생량을 파악조차 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영농폐기물 수거 및 처리가 복잡하고, 지원체계가 정비돼 있지 않다. 농업인들은 곳곳에 방치하거나 불법 소각하기도 한다"면서 “불법 소각은 산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산림청에 따르면 지난 10년 간 발생한 산불 545건 중 소각으로 인한 산불이 127건이며, 이 중 절반이 영농폐기물 소각 때문으로 파악됐다"고 부연했다.
이에 최 구의원은 집하공간 마련, 관계기관 협력 체계 구축 등 대책을 제안했다.
최 구의원은 “동구는 매년 대구시와 영농폐기물 집중수거기간을 운영하지만, 별도 집하장이 없다. 이 탓에 환경공단의 수거 사업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비효율이 발생한다"며 “전남 해남군은 유관기관과 협력해 관련 교육을 진행하고, 방문 수거 및 보상 체계를 구축했다. 동구도 이러한 체계를 만들어 수거율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