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주군 초전면 용성리의 한 야산이 관광농원 개발로 울창한 소나무숲이 벌목되고 있다. |
성주군 초전면 용성리에 사는 주민 A씨는 "마을 바로 앞에 들어서고 있는 관광농원을 보고 깜짝 놀랐다"며 "이곳은 수백 년 된 소나무가 울창한 숲을 이루고 마치 봉황이 날개를 펴고 마을을 향해 날아드는 형상이라 예로부터 부와 큰 인물을 배출한 길지다. 이런 곳에 관광시설이라며 허가 받아 참외밭이나 공사장으로 변질시키고 있다"고 허탈해했다.
실제로 용성리의 한 산 중턱에 자리한 A관광농원 일대 반경 800m 이내에는 2곳의관광농원이 인가돼 있다. 인근 'B 관광농원'은 관광체험시설 없이 참외농장으로만 운영되고 있다. 'C 관광농원'은 허가 이후 현재까지 토목공사만 진행 중이다. 이번에 새로 허가된 A관광농원 역시 기존 관광농원과의 거리가 가까워 자연경관 훼손 및 중복 개발 우려가 큰 상황이다.
관광농원은 농촌관광 활성화와 체험형 프로그램을 유도하기 위한 제도다. 하지만 현실은 관광객 유치없이 창고·농장 운영 등 사익 추구로 악용되고 있다. B관광농원은 허가 후 참외 농장으로만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C관광농원도 허가 후 체험시설 운영 계획이 부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주민들은 "관광이란 말이 면죄부처럼 쓰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당 지역은 수십 년 된 소나무숲이 있어 생태적 가치와 지역민의 정서적 기반을 이루는 공간이다. 주민들은 "이 숲은 유명인들을 배출한 유서 깊은 마을의 심장부"라며 "이곳이 무분별한 개발로 훼손돼선 안 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진입도로도 문제다. 현재 진입 가능한 리도에서 현장까지 약 100여 m 구간이 폭 3m 이하의 비포장 임도다. 대형 차량 진입이나 공사 자재 이동이 어려워 안전과 산지보전의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성주군은 "현행 법령상 신청을 반려할 수 있는 근거는 없다"며 "계획대로 체험시설이 운영되는지 지도·감독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운영 중인 관광농원에 대한 관리·감독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사후 조치에 대한 신뢰도 낮다는 게 주민들의 반응이다.
글·사진=석현철기자 shc@yeongnam.com

석현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