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토교통부 제공.
정부가 오는 2028년 상용화를 목표로 수소열차 실증 사업에 착수했다.
국토교통부는 7일 오는 2028년을 목표로 수소열차 상용화를 준비하는 '수소전기동차 실증 연구개발(R&D)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철로에 수소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열차를 시범 운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국내 수소열차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조기 상용화를 위한 기술·제도적 기반 마련이 목표다.
이를 위해 우선 출력 1.2㎿(메가와트), 최고 운행속도 150㎞/h(설계속도 165㎞/h), 1회 충전 주행거리 600㎞ 이상의 성능을 갖춘 중·근거리용(통근용) 열차인 수소전기동차 1편성(2칸)을 2027년까지 제작한다. 이어 형식승인 등 안전성 검증을 거쳐 실증 노선에서 시범 운행한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또 현재 운영 중인 비전철 노선에 수소 충전소와 차량 검수 시설 등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전기동차와 함께 운영해 운행 시설의 성능과 적합성을 검증한다. 기술 기준 및 운영 관리 규정도 마련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이번 사업에는 한국철도공사(코레일)가 주관기관으로 참여해 오는 2027년까지 총 321억원을 투입한다"며 “정부가 200억원, 코레일이 6억6천만원, 철도차량 제작 기업인 우진산전이 98억6천만원을 투자한다"고 말했다.
한편, 수소열차는 용기에 저장된 수소를 연료전지에 공급해 전기를 생산하고, 전동기를 구동해 추진력을 얻는 미래형 친환경 열차다. 전차선을 통한 외부 전력 공급이 필요 없어 전철화가 어려운 비전철 노선 지역에서도 철도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수소열차의 세계 시장 규모는 올해 26억7천만달러 규모(3조7천억원)에서 연평균 25% 이상 성장해 2035년에는 264억달러(36조6천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