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대구시당위원장 ‘합의 추대’ 관행 깨고 사상 첫 선거…권영진·이인선 의원 후보 등록

  • 권혁준
  • |
  • 입력 2025-07-09 17:07  |  발행일 2025-07-09
9일 권영진·이인선 의원, 대구시당위원장 선거 후보 등록 완료
권영진 “대구 정치 부활의 시작은 이번 시당위원장 선거부터”…변화·혁신 강조
이인선 “스스로 동의한 약속 뒤집고 일방적 행보…지역 정치 신뢰·협의 구조 무시한 처사” 비판
권영진 의원(대구 달서구병)이 9일 오전 11시 국민의힘 대구시당사에서 대구시당위원장 후보 등록을 하고 있다. 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

권영진 의원(대구 달서구병)이 9일 오전 11시 국민의힘 대구시당사에서 대구시당위원장 후보 등록을 하고 있다. 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

이인선 의원(대구 수성구을)이 9일 오후 2시 국민의힘 대구시당사에서 대구시당위원장 후보 등록을 하고 있다. 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

이인선 의원(대구 수성구을)이 9일 오후 2시 국민의힘 대구시당사에서 대구시당위원장 후보 등록을 하고 있다. 권혁준기자 hyeokjun@yeongnam.com

국민의힘 대구시당위원장이 사상 처음으로 선거로 선출된다. 그간 국회의원 간 합의 추대로 선출된 관행이 깨지면서 민심에서 멀어진 대구지역 보수 정치가 또다시 자리 다툼만 벌이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9일 국민의힘 대구시당에 따르면 대구시당위원장 후보자 등록일인 이날 권영진 의원(대구 달서구병)과 이인선 의원(대구 수성구을) 등 2명(이름 가나다 순)이 후보 등록을 마쳤다.


두 의원은 이날 대구시당사에서 각각 기자회견을 열고 출사표를 던졌다.


권 의원은 대구 정치의 위기를 헤쳐 나가기 위해선 낡은 관행을 버리고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권 의원은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조기 대선의 패배로 대구는 하루아침에 야도(野都)가 됐고, 행정 수장인 대구시장마저 장기간 공석인 위기 상황에 처해 있다"며 "이재명 정권하에서 우리 지역이 소외 받지 않고 제 몫을 찾기 위해서는 지역의 현실을 직시하고 지역을 살리겠다는 각오로 온몸을 던져야 한다. 선두에서 솔선수범하겠다"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이어 "과거 대구는 대한민국 정치의 중심이었으나, 지금은 변방으로 밀려났다. 사람을 키우는데 인색하고 도전과 경쟁을 두려워하는 동안 대구의 정치는 우물 안 개구리가 됐다"며 "대구 정치 부활의 시작은 이번 대구시당위원장 선출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형님 먼저 아우 다음' 하는 식의 낡은 관행을 버리고 당의 주인인 당원들의 선택에 맡기는 혁신의 길을 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권 의원은 대구 위기 극복과 당 혁신을 위한 5대 비전과 15대 공약도 발표했다. 그는 △대구시-국회의원 간 정책예산협의회 정례화 △주요 현안별 태스크포스 운영 △대구시당 대선백서 발간 △당원투표제도 시범시행 및 당원 원탁회의 정례화 △시당위원장-공천관리위원장 분리 △당원 활동 평가시스템 도입 △3년 내 당 대표 및 대선주자 발굴 기반 마련 등을 약속했다.


이 의원은 출마 공식 기자회견에서 의원 협의 절차를 깬 권 의원의 일방적 출마 강행 행보를 비판했다. 또, 당 대표 출마 불발 후 시당위원장으로 선회한 것은 개인의 정치적 욕심을 드러낸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 의원은 "그간 대구시당 운영은 대구의 각 당원협의회를 대표하는 국회의원들이 함께 모여 공정하고 책임 있는 협의 절차를 거쳐 시당의 안정과 통합을 위한 최선의 방향을 모색해왔다. 이번 시당위원장 논의 과정에서도 저와 권 의원은 지역 국회의원들의 결정에 따르겠다고 했다"며 "그러나 권 의원이 지역 정치의 신뢰와 협의 구조를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출마를 강행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과 우려를 표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직 자신만이 대구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권 의원의 독점적 주장은 정치적 복귀를 정당화하려는 프레임에 불과하며, 행정과 정당 운영의 엄연한 역할 차이를 혼동하는 위험한 정치적 사고방식"이라며 "대구시장 재임 8년 간 신천지 사태 초기 대응 실패 및 초유의 백신 사기 사건 등 부족한 행정 리더십과 정책 판단 실패를 한 인물이 자기반성과 성찰 없이 다시 전면에 나서는 것은 대구의 미래를 위한 정치가 아니라 과거로의 회귀"라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신뢰 회복·조직 통합·미래 전략을 위해 △당원정책협의회 및 지역정책전략회의 구성·운영 △TK 정례 공동 현안 협의회 설치·운영 △대구정책 라운드테이블 정례화 등을 내세웠다.


초유의 대구시당위원장 선거가 진행되면서 지역 정가에서는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6·3 조기 대선 패배 후에도 반성은 없고,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가지려는 자리 다툼만 벌인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지역 정계 관계자는 "수십년을 지역 정치계에 몸담았지만, 서로 자기 차례라고 우기면서 자리 다툼을 하는 것은 처음 본다"면서 "보수의 위기, 대구 정치의 위기라면서 정작 위기 극복을 위한 노력보다는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놓고 싸움하는 꼴이 볼썽사납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후보 등록 신청을 마감한 대구시당은 향후 자체 선거관리위원회 회의를 통해 최대 1천25명(선출직 당연직 대의원 및 당협별 22대 총선 기준 유권자의 0.05% 이내 추천 인원)의 대의원 명부를 확정하고, 선거 운동 기간 및 투표일 등을 확정할 방침이다.



기자 이미지

권혁준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