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고급인력 중심 기업, 구미-납품위주 기업으로 ‘윈윈’

  • 입력 2012-07-27 07:45  |  수정 2012-07-27 07:45  |  발행일 2012-07-27 제3면
[더 큰 대구, 더 큰 구미 .5]
대구-고급인력 중심 기업, 구미-납품위주 기업으로 ‘윈윈’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경권연구센터가 들어선 대구테크노폴리스 일원. 대구테크노폴리스 같은 산업단지가 조성되면서 대구시와 구미시 간의 보이지 않는 기업유치 경쟁이 치열하다. <영남일보 DB>

대구는 정주여건이 좋아 고급인력을 필요로 하는 기업 중심으로, 구미는 대기업에 납품하기 좋은 기업 중심으로 투자유치 전략을 새롭게 짜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대구시-경북도 기업유치
지나친 경쟁 부작용 불러
행정조직의 경계선 넘어
상생의 전략 추구해야

두 자치단체 유사 기관
통합방안도 고려해볼만
단순 광역경제권보다
파트너십이 우선적 필요

◆ 대구와 구미의 장점을 서로 인정해야

이를 위해 대구시와 구미시는 별도의 협약은 체결하지 않더라도 상대 지역의 장점을 인정하고 이를 배려하는 차원의 노력을 통해 상생의 길을 찾아야 한다.

실제 대구시·경북도 공동 해외투자유치단이 외국기업 유치 설명회 자리에서 특정 기업을 두고 두 지자체가 경쟁적으로 투자 유치에 나서면서 대구시, 경북도 두 곳 다 기업유치에 실패한 경우까지 발생하기도 했다.

이같은 사례는 비단 대구시와 경북도 지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대구·경북지역에 대한 해외투자유치 확대를 위해 설립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 내부에서도 각 지자체에서 파견된 직원들이 대구와 경북의 협력보다는 경쟁으로 치달으면서 좋은 결과를 이끌어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산업발전과 경제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 가동중인 대경경제권 선도산업지원단과 대경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도 제대로 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지역의 산업과 경제 발전을 위해 설립된 두 기관이 그동안 남부권 신공항에만 몰입하면서 대구와 경북의 경제협력 방안 마련이나, 투자유치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시 등에는 다소 부족한 점이 없지 않았다.

대경경제권 선도산업지원단은 광역경제권 선도산업 프로젝트의 총괄관리·지원 업무를 맡으며 대구시·경북도의 경계를 넘어서는 광역사업의 총괄기획과 프로젝트의 평가관리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전국에서 처음으로 설립된 대경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는 광역계획 및 시행계획 수립, 시·도간 협력사업 발굴, 재원분담에 관한 사항, 해당 광역경제권 사업의 관리·평가에 관한 사항을 의결하는 등 시·도간 지속적인 업무 협조 체계를 구축해 내실있는 광역경제권을 구축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2009년에 설립된 두 기관은 지금부터라도 설립 목적에 맞는 정책을 발굴해 대구·경북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는 지척에 두고 기업유치 경쟁을 펼치고 있는 대구와 구미의 윈윈방안 등이 포함돼야 하며, 어느 지자체 소속이라는 행정조직의 벽을 넘어 실질적인 윈윈전략이 수립되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

◆ 기업지원·투자유치 기관 통합도 고려

유사한 사업과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기업지원기관인 대구테크노파크와 경북테크노파크의 통합도 고려해 볼 만한 사안이다.

이는 대구·경북 산업이 대경광역경제권이라는 하나의 톱니바퀴에 물려 돌아가는 상황에서 IT, 부품소재, 섬유, 신재생에너지 등에서 중복된 정부사업을 수행하면서 하나의 큰 틀 속에서 파급되는 효과보다는 작은 틀에서 사업비 따기에만 급급하는 경우도 적지않기 때문이다.

포항테크노파크는 지역적 특성에 따라 어느 정도 특화된 산업분야를 찾아가고 있지만, 대구와 경북 테크노파크는 차별화보다는 중복 투자 사업이 적지 않다. 모바일융합센터가 대구에 있지만, 각종 휴대 단말기의 테스트를 담당하는 모바일 필드 테스트베드는 구미에 있는 것이 단적인 예이다.

김종찬 대구시 투자유치단장은 “대구 성서산업단지와 구미산업단지는 특성상 생산 제품이 중복되지 않아 투자유치도 경쟁이 되지 않지만, 테크노폴리스와 대구국가산단은 구미산단과 겹치는 부분이 적지 않아 기업유치에서 다소 경쟁이 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며 “하지만 달성쪽은 창원과 울산의 강점인 조선·기계·차부품 분야에 역점을 두고, 구미는 모바일 등 전기·전자 분야의 가벼운 산업에 비중을 둔다면 서로 윈윈하면서 국내외 투자유치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의료기기 기업 등에서도 대구와 구미가 상충되는 부분이 다소 있지만, 장기적이고 포괄적인 차원에서 상대지역의 강점 분야에 대한 투자를 밀어준다면 특화된 산업벨트를 구축하는 초석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광희 경북도 투자유치단장은 “경북도는 민선 5기 동안 22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22만개 일자리 중 상당수는 대구 인력이 될 수밖에 없다”며 “이 같은 맥락에서 본다면 구미의 기업 유치는 대구의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따라서 이 단장은 “의료·지식기반 R&D 분야 등의 기업은 대구에, 전기전자·휴대폰, IT 등의 기업은 구미에 유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서 “관련 기업 유치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지역을 몰아주는 서로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선진국은 이미 광역권 아닌 도시권 중심 재편

경제의 개방화 및 지방화로 이미 세계적으로도 도시-도시간 협력이 글로벌 경제거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새로운 지역발전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영국은 이미 과거 광역경제권체제인 RDA(지역개발청) 체제에서 도시권을 중심으로 한 지자체 연합 및 기업 파트너십 체제(LEP)로 전환하고 있다. RDA 권역이 광역행정단위간 물리적인 통합 또는 정치적으로 형성돼 개별 지방정부가 당면한 문제해결이 어렵고, 실질적으로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지 못함에 따라 지방차원의 기능적 경제권역 형성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영국 LEP의 핵심은 기존 행정구역 경계에서 벗어나 지역기업의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새로운 경제지도를 구축해 실질적인 경제활성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더불어 영국의 RDA를 벤치마킹해 ‘5+2 광역경제권’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5+2 광역경제권 정책은 행정권역을 중심으로 한 인위적 통합이기 때문에 제대로 된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에서도 대경광역경제권 통합에 역점을 둘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생활과 경제권 및 교육에 근거한 기초자치단체간 통합인 교육도시로서의 대구와 기업도시로서의 구미간 파트너십 구축 혹은 통합에 에너지를 집중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즉 대구와 구미가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경쟁력 있는 산업과 정주여건을 갖춘 대구대도시권 형성 방안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