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서변IC와 동명·동호IC에 있는 호국로 일부 구간의 제한속도가 너무 낮아 교통사고 위험이 크다고 한다. 이 구간의 경우 별도 나들목(IC)이 없어 운전자들은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로 진입한다는 인식을 못 하는 경우가 많다. 더욱 곤혹스러운 점은 제한속도가 시속 80㎞에서 60㎞, 이어 50㎞로 급격히 줄어든다는 것이다. 이 구간을 처음 달리거나 가끔 달리는 운전자들조차 돌발상황에 당황할 수밖에 없고 대형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안내 표지판을 빼고는 별다른 안전문구가 적힌 교통표지판조차 없다고 한다.
별도의 램프 구간을 둬서 자연스러운 도로변경을 유도하는 방식과는 달리, 유독 이 구간만 일반도로인 호국로로 바로 이어진다. 호국로로 진입한 뒤 불과 1~2분이면 국우터널을 지나면서 제한속도는 시속 50㎞까지 낮아진다. 국우터널을 지나면 내리막길이어서 급제동해야 한다.
호국로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사이에 낀 일반도로다. 지난해 4월부터 '안전속도 5030'의 적용을 받고 있다. 순환고속도로 도입 목적은 연속류(流)기능 때문 아닌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제한속도인 시속 80㎞를 유지하다가 갑자기 내리막에서 시속 20~30㎞가량 줄여야 한다면 도로개설 취지에도 전혀 맞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교통사고 위험이 줄어든 것도 아니다.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고 한다.
대구 성서초등 앞 어린이보호구역 내 제한 속도를 달구벌대로의 60㎞에 맞추기 위해 기존 30㎞에서 50㎞로 조정한 바 있다.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호국로 제한 속도를 '안전속도 5030' 이전인 시속 70㎞로 올리는 게 타당하다.
별도의 램프 구간을 둬서 자연스러운 도로변경을 유도하는 방식과는 달리, 유독 이 구간만 일반도로인 호국로로 바로 이어진다. 호국로로 진입한 뒤 불과 1~2분이면 국우터널을 지나면서 제한속도는 시속 50㎞까지 낮아진다. 국우터널을 지나면 내리막길이어서 급제동해야 한다.
호국로는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사이에 낀 일반도로다. 지난해 4월부터 '안전속도 5030'의 적용을 받고 있다. 순환고속도로 도입 목적은 연속류(流)기능 때문 아닌가.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제한속도인 시속 80㎞를 유지하다가 갑자기 내리막에서 시속 20~30㎞가량 줄여야 한다면 도로개설 취지에도 전혀 맞지 않는다. 그렇다고 해서 교통사고 위험이 줄어든 것도 아니다. 오히려 소폭 증가했다고 한다.
대구 성서초등 앞 어린이보호구역 내 제한 속도를 달구벌대로의 60㎞에 맞추기 위해 기존 30㎞에서 50㎞로 조정한 바 있다.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의 원활한 교통 흐름을 위해 호국로 제한 속도를 '안전속도 5030' 이전인 시속 70㎞로 올리는 게 타당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