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거·문화시설 옆에 수소발전소가?... '서대구 역세권개발 사업' 가로막힐 처지

  • 김형엽
  • |
  • 입력 2022-05-12 21:37  |  수정 2022-05-12 22:23  |  발행일 2022-05-13
주거·문화시설 옆에 수소발전소가?... 서대구 역세권개발 사업 가로막힐 처지
서대구 역세권 개발 사업 조감도. 서대구 하·폐수처리장 통합지하화 후적지에 주거 및 문화시설이 들어서있다. <대구시 제공>

대구 서부권 개척시대를 열 핵심 프로젝트로 주목받아 온 '서대구 역세권개발 사업'이 가로막힐 처지에 놓였다. 당초 주거·문화시설이 들어서는 것으로 설계된 알짜배기 부지가 뜬금없이 수소발전소 건립 유력 후보지로 떠올라서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달 '탄소 중립 첨단산업단지 전환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발주했다. 오는 9월 마무리될 이 용역은 대구염색산업단지 내 열병합발전소를 수소연료전지발전소(이하 수소발전소)로 전환하는 것을 염두에 뒀지만 최근 이 계획에 변화가 감지된 것이다.


12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수소발전소 건립 후보지로 '서대구 하·폐수처리장(이하 폐수처리장) 통합 지하화' 사업의 후적지가 급부상하고 있다. 당초 예상됐던 염색산단 내 열병합발전소 부지에서 바뀐 것이다. 폐수처리장은 올초 민간투자 사업자를 선정해 통합지하화가 진행 중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해당 부지를 '서대구 역세권 개발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사업'이라며 시민이 찾아와 레저활동과 관광 등을 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을 조성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대구시 한 관계자는 "폐수처리장 후적지를 중심으로 문화생활과 주거시설이 어우러진 공간 조성을 계획해왔다"면서 "하지만 최근 갑작스럽게 수소발전소 후보지로 거론되면서 대구시 내부에서조차 엇박자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 향후 서대구 역세권 개발 사업에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대구역이 제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주변 상주인구 및 유동인구를 늘려나갈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면서 "수소발전소와 발전 설비가 들어설 경우 주변 아파트와 서구지역 입주 선호도가 떨어져 서부권역 발전은 손 놓을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실제 서울 강동구·인천 연수구·강원도 강릉시·경남 양산시 등에서는 수소발전소 건립을 두고 주민 반발이 거센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역에선 주민협의체까지 구성해 정부에 민원을 제기하거나 반대 운동을 전개하는 등 단체행동에 나서고 있다 . 해당 부지를 소유하고 있는 염색산단 관리공단 측은 "대구시가 실시하는 용역 결과에 따라 관련 사업을 진행해나갈 예정"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