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재부 제공. |
추경호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지금 우리 경제는 고(高)물가가 지속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 하방위험의 국내전이 가능성까지 우려해야 하는 복합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라고 밝혔다.
추경호 부총리는 이날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최근 들어 전세계적으로 물가상승세가 더욱 확대되고, 미국 등의 금리인상이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경기위축 우려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는 등 대외여건이 더욱 어려워지는 모습"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해외변수의 영향이 국내로 파급되면서 물가 오름세와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데다, 향후 경기흐름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추 부총리는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의 특성상 해외 발(發) 충격이 물가금융시장을 넘어 수출·투자 등 국내 실물경기로 파급될 가능성에도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수출 상황도 낙관하기 힘들다. 추 부총리는 "글로벌 긴축 가속화로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고, 전세계 교역량도 위축될 것으로 보여 주력품목의 수출 신장세가 약화될 우려가 있다"라고 분석했다.
중소 업체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추 부총리는 "원자재 가격이 높은 수준을 지속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라며 "중소 수출업체를 중심으로 원가부담이 가중되고 수출 채산성이 악화되면서 수출실적을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라고 진단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도 악재다. 추 부총리는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글로벌 공급망 불안이 지속되고 있고 항공·해상 등 수출 물류비용도 여전히 높은 수준이어서 하반기에도 수출업체들이 처한 여건은 녹록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우선 물류 부담 증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가중되고 있는 대외 리스크에 대해 적극 대응하기로 했다. 추 부총리는 "수출 중소·중견기업 등에 대해 무역금융을 금년 당초 계획 대비 약 40조원(+15.3%) 이상 확대하겠다"라고 약속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물류비 지원·임시선박 투입·중소화주 전용 선적공간 확대·공동물류센터 확충 등 중소 수출업계의 물류 부담을 완화한다는 방침이다.
해외 변화에도 흔들릴지 않도록 무역기반도 더욱 확충한다. 추 부총리는 "유럽·동남아 등 신시장을 개척하고 친환경, 첨단 소재·부품·장비 등 새로운 수출 유망품목을 발굴·육성하는 한편, 디지털 무역을 활성화하고, 콘텐츠, 헬스케어 등 서비스무역도 더욱 확산해 나가겠다"라고 했다.
이어 그는 "경제 규제혁신 TF를 중심으로 수출기업의 창의와혁신을 옥죄는 규제를 집중 혁파해 나가고, 수출업계의 인력난 완화를 위해 근로시간제 개선, 외국인 고용 확대를 위한 비자제도 개선 등도 추진하겠다"라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