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일 중앙윤리위원회에 출석해 '성 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해 소명한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국회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
'당원권 정지 6개월'이란 중징계를 받은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어떤 반격 카드를 꺼내 들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다만 이 대표는 11일 오후 3시 예정된 의원총회 과정을 지켜본 후 행동에 나설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다. 실제, 하루에도 몇 개씩 글을 올리던 SNS에도 침묵 모드에 들어간 것은 물론 미리 잡아뒀던 언론·유튜브 인터뷰를 모두 취소하는 등 잠행에 들어갔다.
대신 징계 당일부터 매일 변호사 등 참모진과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가능한 모든 시나리오를 펼쳐놓고, 당헌·당규 해석과 가처분 신청 여부 등을 염두에 둔 법리 검토 등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11일 오전 권성동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주재하는 최고위 회의에는 참석하지 않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한다. 권 원내대표가 직무대행 체제를 선언하고 당 수습 드라이브를 건 상황에서 무리한 충돌을 피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고 벼랑 끝에 내몰린 이 대표 입장에서는 내놓을 카드가 많지 않다. 이번 징계로 당 대표로서 권한 행사를 못 하는 탓에 최고위 등을 통한 징계 무효화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현재로서는 윤리위 재심 청구와 징계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등이 남아있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이 대표가 재심 청구를 하더라도 결론이 바뀔 가능성은 낮다. 만약 법원이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면, 코너에 몰린 이 대표는 단번에 모든 상황을 뒤집을 기회를 잡을 수 있다. 하지만 법원이 특정 정당의 내부 논란과 관련한 가처분 신청을 인용한 사례는 극히 드물다. 더 큰 문제는 가처분 신청이 기각될 경우 이 대표는 정치적 치명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대반격의 신호탄은 성 상납 사건 관련 진행 중인 경찰 조사에 있다. 경찰 조사에서 의혹을 벗는다면 기사회생할 반전 카드가 된다. 반대로 혐의가 입증되면 정치적 재기가 쉽지 않다. 이 때문에 이 대표가 단기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여론 뿐이다. 이 대표 핵심 지지층인 2030 남성을 중심으로 국민의힘 지지 철회가 이어지고 지지율 하락으로 이어질 경우 이 대표가 재기를 노릴 정치적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이 대표는 '우군 늘리기'에 주력하고 있다. 윤리위 징계 결정 직후 이 대표가 SNS에 올린 글은 온라인 당원 가입 독려 글이었다. 이 대표 지지층이 대거 유입돼 3개월 후 책임당원 지위까지 획득한다면, 향후 전당대회 결과도 좌우할 수 있는 힘이 생기게 된다. 이 대표 측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어떠한 결론도 내리지 않고, 모든 경우의 수를 대입하며 고민 중"이라며 "이 대표도 이번 주는 별다른 입장 표명없이 잠행을 이어간 후 행동에 나서지 않겠냐"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