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경북통합신공항 조감도(경북도 제공) |
홍준표 대구시장이 취임과 동시에 새로운 '대구경북통합신공항특별법'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면서, 기존 '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라 관련 사업을 추진했던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다소 결이 다른 입장을 보이면서, 신공항 사업이 자칫 '대구 따로', '경북 따로' 추진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영남일보 7월8일자 1면 보도)가 나왔다. 하지만 대구시와 경북도는 최근 일부 수정된 새 특별법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상호 협력키로 했다.
10일 대구시와 경북도에 따르면 양 시·도는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의 조속한 사업 추진을 위해 새 특별법 제정과 현행 군·민간 공항 이전사업 절차를 동시에 진행하는 투 트랙 전략을 구사하기로 의견을 같이 했다. 또 국토교통부와 국방부 등 중앙부처와 기존 절차의 사업 진행이 중단 없도록 충분히 소통하기로 했다.
특히 현행 군공항이전특별법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군·민간 공항 사전타당성조사 결과가 나오는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에 통합신공항 기본계획, 민항 이전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등을 국토부, 국방부, 대구시, 경북도가 공동 발표하기로 했다.
황선필 대구시 통합신공항건설본부 이전사업과장은 "경북도에서 걱정하는 부분 때문에 지난 주 경북도를 찾아 관계자들과 특별법과 관련한 의견을 나눴다"며 "특히 이 자리에서 새로운 특별법도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추진한다는 부분을 분명히 말씀드렸고, 큰 이견은 없었다"라고 전했다.
그는 이어 "국토부가 추진하는 민간공항 사전타당조사가 거의 끝난 상항이고, 대구시의 군공항 기본계획이 끝나면 곧바로 결과를 공동 발표 형식으로 공개하기로 했다"며 "다만, 미군 협상 승인이 아직 나지 않아 정확한 시기는 못 박지 못했지만, 늦어도 8월 초쯤에는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내용은 홍준표 대구시장에게도 전달됐으며, 별다른 이견은 없었다고 황 과장은 전했다.
박찬우 경북도 통합신공항추진단장은 "경북도가 새 특별법에 반대하는 것은 절대 아니었다. 다만 K2 후적지를 대구시로 무상양여하는 부분이 자칫 새 특별법 통과에 발목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부분과 이로 인해 사업 자체가 멈춰서는 것을 가장 우려했을 뿐"이라며 "일단 대구시에서도 투 트랙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한 만큼, 통합신공항의 순항을 위해 경북도와 대구시가 하나가 되도록 더욱 노력 하겠다"고 말했다. 이철우 도지사도 이에 대한 이견을 없었다고 박 단장은 전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노진실기자 know@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