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가 바꾸는 경영환경. 중] 중소기업, ESG 전담인력과 재원부족…지원 나서야

  • 정우태
  • |
  • 입력 2022-07-11 17:24  |  수정 2022-07-11 17:33  |  발행일 2022-07-12
대기업-중소기업 격차 해소 필요
[ESG가 바꾸는 경영환경. 중] 중소기업, ESG 전담인력과 재원부족…지원 나서야
지난달 17일 서울에서 열린 'ESG 글로벌 서밋' 국제콘퍼런스. 앞줄 왼쪽 세 번째부터 최정우 포스코 그룹 회장,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 방기선 기획재정부 차관 등 참가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ESG가 바꾸는 경영환경. 중] 중소기업, ESG 전담인력과 재원부족…지원 나서야
출처: 게티이미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의 중요성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대기업은 과감한 투자를 통해 변화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할 준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중소기업 대다수는 ESG에 대한 기본적 정보조차 부족한 상황이다. ESG 관련 규제가 제정되고 국제 표준이 확립되면 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ESG 영향을 피하기 힘들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선제적 대응이 절실히 요구된다.

◆ 대기업 ESG에 발빠른 대응
대기업은 ESG 경영 전환을 우선 과제로 삼고 있다.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자산규모 2조 원 이상 상장사 169개사의 지난해 이사회 구성 및 활동을 분석한 결과, ESG 위원회(지속가능경영위원회 포함)를 설치한 기업은 88개사(52%)인 것으로 나타났다. ESG 위원회는 각 기업의 ESG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 상황 등을 점검하는 조직이다. 이들 위원회가 진행한 회의안건은 '지배구조(G)' 관련이 73건(12.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환경(E)' 30건(5.3%), '사회(S)' 이 25건(4.4) 순이었다. ESG 전략에 대한 안건은 49건(8.6%)으로 집계됐다.


[ESG가 바꾸는 경영환경. 중] 중소기업, ESG 전담인력과 재원부족…지원 나서야
대기업 10곳 중 8곳은 ESG 관련 예산·인력도 더 늘릴 계획이다. 올 초 전국경제인연합(전경련)이 매출 상위 300대 기업 ESG 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81.4%는 ESG 사업 규모를 더 늘리겠다고 답했다. 18.6%는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한다고 답했고 규모를 줄이겠다는 기업은 없었다. 또한 82.6%는 ESG 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거나 설치를 준비하고 있다.


전경련이 운영 중인 'K-ESG 얼라이언스' 회원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지속 가능 보고서 및 실태조사를 기반으로 한 'K기업 ESG 백서'를 보면, 오는 2030년까지 국내 30대 그룹의 ESG 투자 규모는 153조2천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중소기업 ESG 대응 지원 절실
중소기업들은 ESG 경영의 영향이 커지는 것을 체감하면서도 대응력을 갖추지 못해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여전히 ESG에 대한 정보, 이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가 지난달 국내 중소기업 621개사를 대상으로 ESG 대응 현황을 조사한 결과, 'ESG 평가 요구 경험이 있다'고 답한 기업은 20%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0.8%는 요구되는 ESG 정보량·평가기준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고 답했다.


하지만 ESG 경영 요구기준은 '대략적 가이드만을 제공받고 있다'는 기업이 66.1%를 차지했다. 명확한 기준을 파악하는 기업은 26.6%에 그쳤다. 거래처 지원사항을 묻는 문항에 '지원사항이 전혀 없다'는 응답은 64.5%에 달했고 '적극적 지원이 있다'는 응답은 4%에 불과했다.


중소기업의 경우, 부족한 인력·재원 탓에 선제적 대응에 나서지 못하는 곳이 대부분이다. 실제 경북경제진흥원이 올 초 DGB금융지주와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경북지역 중소기업 183개사 가운데 ESG 전담조직과 인력을 갖춘 기업은 0.5%였다.


대구의 한 중소기업 관계자는 "ESG 영향력이 커지고 기준도 강화되고 있는 것을 알고는 있지만 규모가 작은 기업은 인력을 따로 편성할 수도 없는 등 대응하기가 버거운 상황"이라며 "ESG 변화에 중소기업을 보호하고,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 관계자는 "ESG 경영체계를 구축하고 실효적 이행을 위해선 전문성을 갖추고 위원회 혹은 이사회에서 ESG 이슈를 주요 안건으로 다룰 필요도 있다"면서 "기업의 규모에 따라 ESG에 대응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역량이 다를 수밖에 없다. 정부 차원에서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의 ESG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할 수 있는 정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정우태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