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8일 중앙윤리위원회에 출석해 '성 상납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해 소명을 마친 뒤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기자들에게 입장을 밝히고 있다. 연합뉴스 |
당원권 정지 6개월이란 중징계 처분을 받은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가 고립무원에 빠지면서 '6개월 뒤 복귀' 그림을 구상 중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다양한 반격 카드들이 이 대표 본인은 물론 당에도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당 내분이 일 것이란 예상과는 달리 국민의힘은 지난 11일 의원총회를 통해 권성동 원내대표의 '당 대표 직무대행 체제'로 결론을 내리는 등 빠른 안정화에 접어들고 있다. 이 대표의 마지막 희망이었던 2030 젊은 층의 지지 여론도 미지근하다.
이에따라 윤리위 재심청구나 법원 효력 정지 가처분 신청 모두 실효성이 떨어지는 카드로 인식되고 있다. 윤리위에서 재심을 받는다해도 다른 결과를 내놓을 가능성이 낮고, 가처분 신청은 기각될 경우 정치적 치명타를 입게 된다. 이 대표의 불복에 힘을 실어줄 당내 여론도 사실상 전무한 상황이다. 국민의힘 의원 총회에서 이 대표를 옹호하는 취지의 발언을 한 인물은 하태경 의원과 김용태 최고위원 등 극소수에 불과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경찰 조사 결과에 이 대표의 정치적 명운이 달린 셈이다. 국민의힘 당규상 성범죄나 강력 범죄 등으로 기소만 돼도 당내 경선에 출마하지 못한다. 이 대표가 성 상납 의혹으로 기소될 경우 2024년 총선에 도전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동시에 자진 사퇴 압박도 분출하면서 사실상 '정치적 사망 선고'를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성 상납 및 증거인멸 교사 의혹에 대한 경찰 조사에서 '무고함'이 입증된다면 상황은 급반전한다. 여론을 이 대표에게 유리하게 끌고 가며 6개월 뒤 당무에 복귀한다면 더 강력한 힘을 갖게 될 것이란 주장도 일고 있다. 이렇게 되면 1년 뒤 치러지는 전당대회 재출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김용태 최고위원은 지난 11일 TBS라디오에 출연해 "수사 결과 문제가 없다면 (이 대표의) 재출마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이 대표 측근은 "당 초 1~2주 정도 잠행을 하며, 경찰 조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것이 우선 선택지였다"며 "하지만 당을 대상으로 강경 일변도의 반격보다는 차분히 6개월을 기다린 뒤 복귀라는 그림도 충분한 고려대상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