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G20 재무장관 중앙은행총재회의 참석차 인도네시아 발리를 방문 중인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7월 16일(현지시간) 동행기자단과의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기재부 제공. |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국내 소비자물가 추세와 관련해 "물가가 6월 이후 6%대 상승률을 보이고 있고, 9월과 10월까지는 불안한 양상이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추경호 부총리는 16일(현지시각)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회의'에서 기자들에게 "상승률이 7%~8%, 혹은 9%까지 갈 수 있다는 얘기가 나오는데 추가 돌발상황이 없으면 그렇게까지는 가지 않고 6%대에 있을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현재의 고물가 상황이 고착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추 부총리는 "물가가 6%를 상회해 7%~8%에서 상당 기간 고정화되는 현상은 없을 것"이라며 "미국이나 유럽처럼 고물가 상황이 기조적으로 안착해 걱정해야 하는 상황까지는 가지 않으리라고 본다"라고 전망햇다.
다만 경제성장률은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추 부총리는 "현장 분위기를 볼 때 7월에 발표될 IMF 성장 전망치도 지난 4월에 비해 추가로 하향 조정될 것"이라며 "(한국 경제성장률도) 조정 가능성은 있어 보인다"라고 예상했다.
이어 그는 "한국 경제는 좋은 펀더멘탈(기초체력)을 고려할 때 주요국 대비 둔화 폭이 크지 않을 것"이라며 "세계 경제 둔화는 대외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복합 위기에 대응하는 우리의 대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