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내 수출기업 ESG 실사 대응 수준 및 단계별 대응 수준자료: 대한상공회의소 |
0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기준을 강화한 유럽엽합(EU)의 공급망 실사 법안 시행을 앞두고 국내 수출 기업들이 부들부들 떨고 있다. 독일은 내년 1월부터 공급망 실사법을 시행키로 했다. 국내 유럽지역 수출기업들은 준비가 부족해 계약수주 파기 등 불이익을 당할 공산이 커졌다. ESG 경영 관련 '공급망 실사법'은 전 공급망에 대해 ESG 경영 평가를 위한 점검을 실시해, 이 과정에서 발견된 문제를 공개하는 것은 물론 대응 방안까지 요구하겠다는 것. 실사 대상에는 자회사, 공급업체, 하도급사가 포함된다.
국내 수출기업의 ESG 경영 평가 대비는 미흡하기 짝이 없다. 1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수출기업의 공급망 ESG 실사 대응 현황과제' 보고서를 보면 응답 기업의 과반수(52.2%)가 'ESG 경영 미흡으로 향후 고객사(원도급사)로부터 계약·수주가 파기될 가능성이 높다'고 답했다. 이 보고서는 지난달 20~30일까지 국내 수출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작성됐다.
'ESG 실사 대비 수준'을 묻는 항목에 '낮다'는 응답이 77.2%(매우 낮음 41.3%·다소 낮음 35.9%)였다. 반면 '높다'는 답변은 22.8%(매우 높음 1.2%·다소 높음 21.6%)에 불과했다. 또한 '실사 단계별 대응 수준'을 묻는 항목에 대해선 58.1%가 '대응 체계 없음'이라고 답했고, '사전준비 단계'라는 응답은 27.5%였다.
원도급사의 협력업체에 대한 ESG 경영지원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 실사, 진단·평가, 컨설팅 경험 유무'를 조사한 결과에선 '경험 있다'는 응답은 10% 안팎에 그쳤다. 유형별로 보면 '진단·평가'(11.8%) 'ESG 실사'(8.8%) '컨설팅'(7.3%) 순이었다. ESG 실사 관련 애로사항으로는 '내부 전문인력 부족'(48.1%)을 손꼽은 기업들이 가장 많았고 '진단 및 컨설팅·교육 비용부담'(22.3%), '공급망 ESG 실사 정보 부족'(12.3%) 등이 뒤를 이었다.
대구지역 한 제조업체 관계자는 "공급망 실사법 이전에도 유럽 기업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까다로운 편이었다. 협력업체가 되는 과정도 힘들지만 이를 유지하는 것도 어렵다"면서 "유럽에서 경쟁력을 확보하려면 ESG 경영이 필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아 규모가 작은 기업 입장에서 부담이 크다"고 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공급망 중간에 있는 중소·중견기업은 ESG 준비가 미흡해 고객사 요구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협력업체까지 관리해야 하는 이중고를 안고 있다. 수출기업의 공급망 실사, 컨설팅, 전문인력 양성에 노력하겠다"고 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