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학사급 반도체 인재는 지방大, 석·박사급은 수도권大로…

  • 논설실
  • |
  • 입력 2022-07-21   |  발행일 2022-07-21 제23면   |  수정 2022-07-21 06:50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이 공개됐다. 윤석열 대통령이 교육부를 강하게 질타하며 첨단산업 인재 양성 대책을 주문한 지 40여 일 만이다. 골자는 앞으로 10년 동안 반도체 인력을 15만명 양성하는 것이다. 엄격하게 정원이 통제된 수도권 대학에서만 1천300명의 입학 정원을 늘리는 등 대학의 반도체 관련 학과 정원 2천여 명을 증원키로 했다. 학과를 신·증설하려면 교원(교수)·교사(건물)·교지(땅)·수익용 재산 등을 갖춰야 하지만 반도체 학과는 교원 확보율 이외의 규제를 모두 풀었다. 유일한 요건이 된 '교원' 역시 반도체 산업 현장 전문가를 활용할 수 있도록 겸임·초빙 교원 자격 요건을 완화했다.

중국의 반도체 관련 기술이 급진전하면서 미국조차 엄청난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우리 산업의 근간인 반도체 분야의 인재를 육성하는 것은 긴요하다. 그러나 교육부가 내놓은 수도권 대학 반도체학과 증원이 핵심인 이번 대책은 하책이다. 지방대의 반도체 학과 정원도 늘리겠다고 했지만, 지방대는 반도체 분야 연구·교육 인프라 부족으로 기존 정원도 채우지 못하는 실정이다. 수도권 대학 정원이 늘면 수도권 쏠림현상은 한층 커질 것이다. '계약정원제'를 허용한 것도 수도권대에 일방적으로 유리하다. 기업과 채용을 조건으로 계약해서 정원을 늘릴 수 있는 지방대가 과연 몇 곳 되겠나. 반도체 같은 최첨단 미래 먹거리 분야에서 지방대에 더 많은 기회를 줘야 윤 대통령이 공약한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열 수 있다. 지방대를 중심으로 학사급 반도체 인재를 양성하고, 석·박사급 인력은 수도권대에 맡기는 방안 등을 고려하길 바란다. 지역에 방치되다시피 한 연구소 등이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우수 교원·첨단장비 확보 방안도 구체적으로 제시되길 바란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