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의 대표 지역공약 사업인 영일만대교 조감도.<포항시 제공> |
경북 포항의 숙원사업이자 윤석열 대통령의 지역 대표 공약사업인 영일만대교 건설사업이 군 작전에 방해가 된다는 군 당국의 주장에 대해 포항시가 반박하고 나섰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26일 "영일만 대교가 군부대 작전에 방해가 된다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말인 만큼 군부대가 생각을 조금만 바꾸면 다 해결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날 포항시청 브리핑실에 예고 없이 찾아와 "영일만대교 건설은 윤석열 대통령이 약속한 사안"이라며 "내년 말 개통 예정인 포항∼영덕 고속도로와 이미 개통한 울산∼포항 고속도로를 연결하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만약 전시 상황에서 적 공격으로 군함이 드나드는 구간의 사장교가 무너지더라도 물이 깊어 군함이 드나드는 데 아무 문제가 없고 만약 어렵더라도 영일만대교의 다른 사장교를 통해 다닐 수 있다"며 "주탑이 비행구역에 방해가 된다는 것도 말이 안 되고 만약 문제가 있다면 위치를 옮겨서 건설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영일만대교 내륙쪽에 있는 포항해양경찰서 부두도 내년 말까지 영일만대교 바깥쪽인 영일만항으로 이전하기로 했다"며 "해군도 지난 2010년에 부대를 영일만항으로 이전하기로 한 만큼 옮기면 아무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지난 15일 김정재·김병욱 국회의원과 함께 이종호 해군참모총장 등을 만나 포항 앞바다를 가로지르는 해상 교량인 영일만대교(동해안대교) 건설 필요성을 설명했다. 이 시장과 지역 정치권이 직접 나선 것은 군 당국이 지난해 군함 통행 등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건설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 시장은 이 자리에서도 "해상교량인 영일만대교가 완성되어도 교각거리 및 높이가 충분해 군함과 잠수함의 통행 등 군사작전에 지장이 없다"는 것을 강조했다.
이어 지난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의원들을 만나서도 국방부 협의사항에 대해 논의를 했다. 이후 포항시는 국방부 각 담당부대를 찾아 세부협의를 통해 비행안전구역 고도제한 등에 대한 보완책을 찾았다.
포항시는 현재 마지막 남은 '전시 교량붕괴로 인한 입출항 문제'에 대한 명확한 답변과 대안을 국방부에 요청했으며, 이에 대한 최종 협의를 앞두고 있다고 밝혔다.
포항시측은 현재 최종 노선 확정을 위해 국토부, 국방부, 경북도, 포항시 등이 긴밀히 의견교환 및 사업 검토중에 있으며, 조만간 업무 협의가 완료되면 최종 노선이 확정될 예정이다고 밝혔다.
영일만대교 건설사업은 총 사업비 1조6천189억 원을 들여 포항시 남구 동해면~북구 흥해읍을 잇는 총 길이 18㎞(해상교량 9㎞, 접속도로 9㎞)의 국책사업으로 2008년 광역경제권 발전 30대 프로젝트에 선정된 사업이다.
하지만 그동안 두 차례 정부 예비타당성조사에서 경제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돼 제대로 추진되지 못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은 후보 시절 공약으로 영일만대교 건설을 약속했고 당선된 이후 지난 4월 포항을 찾아 공약 이행 방침을 재확인했다.
이 시장은 "포항∼영덕 고속도로가 내년 말 개통되면 차량 정체가 불 보듯 뻔한 만큼 당장 영일만대교 건설에 착수해야 하며, 올해 안으로 기본 및 실시설계비를 반영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