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을 한달여 앞두고 있지만 최근 작황 부진으로 신선채소 가격이 크게 오른 가운데 폭우 피해까지 겹치면서 농작물 가격 오름세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15일 통계청 7월 소비자물가 동향 조사에 따르면 신선채소 물가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6.0%, 전월 대비 17.3% 각각 올랐다. 통계청은 고온 다습한 기후가 신선채소 가격 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잦은 비와 폭염에 따른 작황 부진이 출하량 감소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전월 대비 상승률은 상추(108.0%), 시금치(95.4%), 오이(73.4%), 열무(65.8%), 호박(50.6%), 부추(37.1%), 배추(30.4%), 미나리(25.8%), 무(24.7%), 양파(10.7%) 등으로 나타났다. 감자(-9.2%), 파프리카(-5.2%), 버섯(-3.1%) 등은 전월보다 내렸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가격이 올랐다.
이런 가운데 최근 폭우가 쏟아지면서 농작물 수급 차질에 대한 우려는 더 커지고 있다. 강우 이후 기온이 갑자기 오르면 병해가 발생하거나 농작물 생육에 방해될 수 있어서다. 기상청은 강우지역은 일시적으로 기온이 내리겠지만 비가 그친 후 다시 무더위가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농약비와 영양제 지원 등을 통해 집중호우에 따른 농작물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추석(9월10일)을 앞두고 역대 최대 수준인 650억원 규모의 농축수산물 할인쿠폰을 풀어 체감 물가를 낮추기로 했다. 하지만 지난해보다 물가가 크게 오른 품목이 많아 차례상 준비에는 부담이 클 전망이다.
통상적으로 국산보다 저렴한 수입산 농축수산물 가격이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여파로 오른 점도 부담으로 작용한다. 관세청 '주요 농축수산물 수입가격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 소고기 가격은 6월보다 7.7% 떨어졌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22.0% 올랐다.
냉동 조기(29.4%), 냉동 명태(21.0%), 냉동 오징어(20.9%), 냉동 고등어(17.0%), 명태(14.1%) 등 수산물과 건조 무(50.1%), 냉동 밤(35.1%), 밤(8.3%) 등 농산물 가격도 1년 전보다 큰 폭으로 상승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