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통계청 제공>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5%대 중반을 기록하며 8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오름세가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채소를 비롯한 농산물 가격과 외식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을 이어갔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9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8.93(2020=100)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5.6% 상승했다. 물가 상승률은 올해 6월과 7월 각각 6.0%, 6.3% 오르며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11월(6.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하지만 지난 8월 5.7% 상승률을 보이며 상승 폭이 둔화했으며, 9월에도 작년 동월 대비 상승률이 소폭 감소하면서 두 달째 내려갔다.
9월 물가 상승률이 전월보다 둔화한 이유는 국제유가가 한풀 꺾인 때문이다. 품목별로 석유류가 16.6%, 가공식품은 8.7% 각각 오르면서 공업제품이 6.7% 올랐다. 하지만 석유류 상승률은 지난 6월 39.6%로 정점을 찍은 뒤 7월 35.1%, 8월 19.7%로 상승세가 점차 떨어지고 있다. 지난 달 경유(28.4%)는 여전히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지만, 휘발유(5.2%) 상승률은 크게 감소했다. 공업제품의 전체 물가 기여도 역시 전월 2.44%포인트에서 2.32%포인트로 하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석유수출국기구(OPEC) 플러스의 감산 결정이 석유류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지켜봐야 한다"면서 "물가 상승세는 7월에 굉장히 높은 수준이었고, 이후 정점을 지났을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분석했다.
다만 가공식품은 8.7% 올라 전월(8.4%)보다 상승 폭을 키웠다. 농산물 가격 역시 채소류(22.1%)를 중심으로 8.7% 상승했다. 작황이 좋지 않았던 배추(95.0%)와 무(91.0%)가 큰 폭으로 올랐고, 파(34.6%)와 풋고추(47.3%) 등도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개인서비스는 6.4% 올라 전월(6.1%)보다 상승 폭을 키우는 등 1998년 4월(6.6%) 이후 가장 높았다. 외식 물가 상승률은 9.0%로 1992년 7월(9.0%) 이후 30년2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보험서비스료(14.9%), 공동주택 관리비(5.4%) 등 외식 외 서비스도 4.5% 올랐다.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은 14.6% 상승했지만 전월(15.7%)보다 오름 폭이 둔화했다. 다만 이달부터 전기와 도시가스 등 공공요금 인상분이 반영되면서 다시 오름세를 키울 전망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석유류와 채소·과실 등 농산물 가격 오름세가 둔화하면서 물가 상승 폭이 축소됐지만, 환율 상승 등 국내 물가 상승 압력이 분명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자주 구매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에 가까운 생활물가지수는 6.5% 오르며 전월(6.8%)보다 상승 폭이 둔화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김형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