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환경·거주여건·지자체 지원 '3박자'…지난해 1370가구 상주로

  • 김일우 영남일보 부설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 연구위원
  • |
  • 입력 2022-10-12   |  발행일 2022-10-12 제25면   |  수정 2022-10-12 07:55
[상주, 삼백의 고장에서 스마트팜 도시로 .9] 상주 귀농·귀촌 현황과 각종 지원제도

2022101101000312900012401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에 있는 농장 오굿셀에서 귀농한 김동욱·김은진씨 부부가 오이 모종을 살펴보고 있다. 농업에 적합한 자연 환경과 살기 좋은 거주 여건을 지닌 상주는 전국에서 손꼽히는 귀농·귀촌 친화지역이다.

경북 상주시는 전국에서 손꼽히는 귀농·귀촌의 '메카'다. 매년 유입되는 귀농·귀촌인구가 1천700명에 이를 정도다. 농업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선진 재배기술, 살기 좋은 거주환경, 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등 귀농·귀촌에 적합한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어서다. 인구 감소와 노령화로 쇠퇴하고 있는 농촌사회에서 귀농·귀촌인의 안정적인 정착은 매우 중요하다. 지역 문제를 넘어 대한민국 농업의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선 반드시 선행돼야 하는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상주, 삼백의 고장에서 스마트팜 도시로' 9편에서는 상주의 귀농·귀촌 현황과 지원제도를 소개한다.

◆접근성 좋고 거주 환경도 뛰어나

"귀농한 뒤로 정말 즐겁고 재미있어요. 농촌생활이 저에게 딱 맞는 것 같아요."

11일 상주시 함창읍 오사리에 있는 농장 오굿셀에서 만난 김동욱(41)씨는 이렇게 말하며 웃었다. 김씨는 동갑내기 아내 김은진씨와 2018년 귀농했다. 이들 부부는 현재 3천960㎡(1천200평) 규모의 스마트팜에서 오이 농사를 짓고 있다. 귀농할 때만 해도 자녀는 두 명이었는데 막둥이 아들이 태어나 식구는 모두 다섯으로 늘었다.

부부는 부산 출신이다. 부산에서 결혼해 직장에 다녔다. 하지만 남편 직장과 집의 거리가 멀어 주말부부 생활을 할 수밖에 없었다. 가족들 얼굴 보는 게 어려웠던 터라 부부는 귀농을 결심했다. 자신만의 시간을 갖고 싶은 마음도 크게 작용했다.

김씨 부부는 이곳저곳 귀농할 지역을 알아보다가 상주 함창을 선택했다. 초·중·고가 모두 있고 병원 등 편의시설도 만족스러웠기 때문이다. 작물은 안정적이고 단기간에 소득이 잘 나오는 오이를 선택했다. 김씨는 함창에서 오이 농사를 잘 짓는 이를 찾아가 농사를 배웠다. 집과 밭은 임대했고, 청년농업CEO 농어촌진흥기금 등을 융자로 지원받아 스마트팜을 지었다. 최근에는 수입이 괜찮아져 낡은 집을 사서 보수하고 있다.


접근성 뛰어나 해마다 1700명 유입
2018년 부산서 귀농 김동욱씨 부부
스마트팜 오이 농사로 성공적 안착
영농기반 구축·주택 마련 지원 다양
청년농업인 육성 지원 사업도 운영



처음에는 낯선 지역에서 농사를 짓는 게 힘들었지만 외향적인 성격이라 금방 적응했다. 남편 김씨는 새마을지도자회를 비롯해 오이 재배 농가들이 만든 삼삼원예영농조합, 상주 남성 보컬 앙상블 '아리아리', 함창농협 청년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자신처럼 아이를 키우는 젊은 부부들과 함께 돌봄품앗이도 만들었다. 지난해 11월1일에는 상주시 저출산 극복 가족사진 공모전에서 금상을 받기도 했다.

"상주는 대한민국 중간에 있어 어디에 가든 접근성이 좋아요. 아이들과 놀러 가거나 외식하러 갈 곳도 주변에 꽤 있어서 애들 키우며 농사짓고 살기 좋은 것 같아요." 아내 김씨는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상주는 전국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귀농·귀촌 선호지역이다. 지난 9년 동안 매년 1천700명·1천300가구 안팎의 귀농·귀촌인이 상주로 꾸준히 들어오고 있다. 귀농인 규모로는 경북에서는 1~2위, 전국에서는 2~4위를 다툰다. 귀농인은 농촌에 들어가 농업을 전업으로 삼는 것이고, 귀촌인은 농촌에서 농업이 아닌 다른 일에 종사하며 사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상주 귀농인은 282명·212가구, 귀촌인은 1천445명·1천158가구다. 이 둘을 합치면 지난해 상주에 들어온 귀농·귀촌인은 모두 1천727명·1천370가구에 이른다. 경북 의성과 전남 고흥에 이어 전국에서 셋째로 많았다.

2022101101000312900012402
지난해 상주의 한 텃밭에서 농사자립과정 텃밭정원농사 워크숍 수강생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상주시 제공>
2022101101000312900012403
상주시 귀농귀촌인역량강화사업 먹거리 자립과정 교육 참가자들이 강의가 끝난 뒤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상주시 제공>

◆"영농기반 구축, 市에서 지원해 드려요"

농촌생활이나 농업에 익숙하지 않은 귀농·귀촌인은 농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많은 우여곡절을 겪는다. 농사지을 땅과 주택·시설·농기구 등 영농기반 구축에도 많은 자금이 필요하다. 상주시는 이런 귀농·귀촌인의 시행착오를 최대한 줄여 농촌에 안정적으로 정착해 미래 농업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귀농인 정착지원사업'이다. 소형농기계·저온저장고·농업시설 등 영농기반을 갖추는 데 자부담 100만원을 조건으로 400만원을 보조해 준다. 65세 이하 전입 5년 이내 농업인이 대상이다. '귀농·귀촌인 주택수리비 지원사업'도 주요 사업 중 하나다. 도배, 장판, 화장실, 보일러 등 주택과 관련한 수리비 500만원을 지원해 준다. 자부담 500만원 조건으로 전입 5년 이내 귀농·귀촌인이면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귀농·귀촌인 주거임대료 지원사업'도 눈여겨볼 만하다. 1인 가구 연 120만원, 2인 가구 연 180만원, 3인 가구 연 240만원, 4인 이상 가구 연 300만원 등 농가주택 임대료를 대신 내준다. 수혜대상은 다른 사업과 동일하다.

융자 성격의 지원 제도도 많다. 대표적인 것이 농지나 시설 구입 등의 비용을 지원해주는 '귀농 농업창업 지원사업'이다. 최대 3억원을 융자받을 수 있다. 65세 이하 전입 5년 이내 농업인이 대상이다. '귀농 주택구입 지원사업'도 마찬가지다. 농가주택을 구입하거나 신축할 때 최대 7천500만원을 융자해 준다. 나이 제한 없이 전입 5년 이내 농업인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귀농인 농어촌진흥기금 지원사업'도 운영 중이다. 농업 관련 운영자금이나 시설을 갖추는 데 필요한 자금을 빌려준다. 융자금액은 1천만~5천만원이다.

이외에도 '입주자 주도형 소규모 전원마을 조성사업'이 있다. 상주 이외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이나 단체가 5~19가구의 소규모 전원마을을 상주에 조성해 실제 거주하면 진입도로나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설치해 준다. 사업비는 5~10가구 규모는 7천만원 이내, 11~19가구 규모는 1억원 이내다.

청년농업인을 지원하는 제도도 다양하다. 그 가운데 '청년농부 참여형 마을영농 지원사업'이 대표적이다. 청년농업인이 주도하고 지역농업인이 참여하는 지역공동체나 조직을 위해 마을단위 영농기반 시설이나 장비 등을 지원한다. 조건은 자부담 30%, 3억원 이내다.

만 18세 이상 40세 미만 독립경영 3년 차 이하 청년농업인 또는 영농희망자를 대상으로 하는 '청년후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도 빼놓을 수 없다. 1년 차 월 100만원, 2년 차 월 90만원, 3년 차 월 80만원 등의 영농정착지원금이 지급된다. 더불어 후계농업경영인 육성자금으로 3억원의 융자도 받을 수 있다.

농업 사업자금과 활동비로 최대 3년 동안 1천만원을 지원하는 '청년농부 육성 지원사업'과 하루 8시간 기준으로 6만원의 교육훈련비(월 100만원 한도)를 지급하는 '초보청년농부 멘토링 지원사업'도 있다.

이외에도 상주시는 '청년농업CEO 농어촌진흥기금 지원사업' '청년농업인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사업' '청년농부 창농기반 구축 지원사업' 등을 통해 청년들의 농업활동을 다방면으로 지원하고 있다.

글·사진=김일우 영남일보 부설 한국스토리텔링연구원 연구위원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기획/특집인기뉴스

영남일보TV





영남일보TV

더보기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