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 '힌남노'로 큰 피해를 입은 포항지역의 주택 피해자와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 지원금이 상향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는 지난 21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태풍 힌남노 피해 복구 계획과 주택·소상공인 피해 지원제도 개편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고, 총 7천802억 원을 투입하는 복구 계획을 확정했다.
중대본은 주택 피해자와 소상공인의 주거·생계 안정을 고려해 시범적으로 기존 기준보다 많은 금액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동안 일률적으로 1천600만 원을 지원한 주택 전파의 경우에는 최소 2천만 원에서 최대 3천 600만 원으로 면적별로 상향된 지원금을 준다.
주택 반파도 기존 800만 원에서 1천만~1천800만 원으로 지원금이 늘어난다. 주택 침수 피해를 본 이재민들에게는 100만 원이 늘어난 300만 원이 지원된다.
상가침수 등의 피해를 보고도 지원금을 받을 수 없었던 소상공인들에게는 이번 태풍 피해의 경우 300만 원이 지급된다. 나아가 정부는 시범적으로 적용한 주택 피해 등에 대한 지원 기준을 토대로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재난지원금 현실화 등을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중대본은 "복구비 지원규정에 따라 재산 피해액과 복구비를 산정해 지원하되, 사유시설 피해까지 유발한 공공시설은 유사한 피해가 재발되지 않도록 복구계획을 수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천 폭이 좁아 침수 피해를 유발한 하천은 하천폭을 확장하고, 교각 간 간격이 좁은 교량을 넓히는 등 근본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복구 계획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앞서 포항시, 포항시의회, 지역 정치권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 등 정부부처와 국회 등에 실질적인 태풍피해 복구를 위해 적극적인 재정 지원을 건의한 바 있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정부가 지역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복구 계획을 신속히 수립한 만큼 복구 사업을 치밀하게 추진해 포항이 온전한 모습을 회복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