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동구 용계동에 추진하다 무산된 '식품산업클러스터' 조감도 대구도시개발공사 제공 |
대구 동구 용계동에 추진 중이었던 '식품산업클러스터' 조성사업(영남일보 1월17일자 7면 보도)이 대기오염·악취 우려로 끝내 철회됐다. 이에 대구시는 새로운 입지를 찾겠다는 입장이다.
대구시는 7일 "대구시와 대구도시개발공사가 추진한 '식품산업클러스터 개발사업'이 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 결과 재검토 결정되면서, 사업 진행이 불가함에 따라 부득이하게 사업철회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식품산업클러스터는 기존 사업 단지 내 입주가 어려웠던 대구지역 식품업체들의 숙원 사업으로, 2015년부터 추진돼 동구 용계동에 27만㎡ 규모로 조성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용계동 인근 주민들이 오염·악취 문제로 반대했고, 대구지방환경청도 지난달 20일 환경영향평가 본안 협의에서 같은 이유로 '부동의(재검토)' 결과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협의 의견에 따르면, 대구환경청은 △사업지구 주변 일반주거지역의 정주환경과 교육여건에 대한 훼손 △용도지역 상충 △상위계획과의 부적합성 △장기적 관점에서 도시관리의 불합리 등의 사유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결정했다.
결정적인 재검토 사유는 '사업지구 주변 일반주거지역의 정주환경과 교육여건 훼손' 우려였다. 대구환경청에 따르면, 사업지구인 개발지구 주변 2㎞ 이내엔 아파트 8개, 빌라 5개, 학교 5개, 종교시설 2개, 유치원 1개 등 32개의 시설들이 위치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사업대상지와 인접한 다수 영향 예상 시설의 경우, 지형적인 차폐가 없기 때문에 산업시설의 운영으로 배출되는 대기오염 물질과 악취 물질이 환경이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환경청은 분석했다.
사업이 수포로 돌아가면서 클러스터 조성을 전면 반대해 왔던 용계동 주민들은 환영하는 반응이다. 김모(58)씨는 "가공업이 들어오는 것 때문에 주변 논, 밭, 하천들이 오염될 우려가 있어서 위생적인 문제 때문에 걱정이 많았다. 주민들 입장에서 잘 된 일이다"고 했다.
반면, 지역 식품업체들은 기다렸던 사업이 좌절되면서 아쉬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입주를 희망했던 대구의 식품업체 대표 A씨는 "식품 관련 기업들이 입주를 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마련해 달라고 오랜기간 토대를 닦으며 우여곡절 끝에 추진하게 된 사업인데, 무산돼 답답하고 아쉽다"고 했다.
이에 대구시는 새로운 입지를 찾는다는 입장이지만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식품산업클러스터 사업 자체를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입지 재선정을 위해서 원점에서 재검토를 해야 할 것 같다"며 "2015년부터 추진해 왔기에 환경도 많이 변했고 입지를 새롭게 조사하고 선정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 같다"고 말했다.
이자인기자 jainlee@yeongnam.com

이자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