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징어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수산물 가운데 하나다. 과거에는 큰 부담 없이 먹을 수 있었기에 마른오징어에서부터 생오징어, 살짝 데쳐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숙회, 오징어볶음, 오징어젓갈 등에 이르기까지 먹는 방법도 다양하다. 그래서 남녀노소 대부분이 좋아하는 '국민 수산물'로 불렸다. 그러나 최근 몇 년 새 어획량 급감으로 가격이 크게 올라 '금(金)징어'로 불리는 바람에 '국민 수산물'이라는 지위를 잃어버렸다.
오징어의 주산지는 동해안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통계자료를 보면 그것도 아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강원도 오징어 어획량은 2020년 8천691t, 2021년 6천232t이었다가 2022년에는 무려 2천507t 줄어든 3천725t으로 집계됐다. 경북 동해안 어획량 역시 마찬가지여서 2020년 2만1천768t이던 어획량이 2021년 1만9천246t으로 감소한 데 이어, 급기야 지난해에는 9천819t으로 3년 사이 반토막 이하로 급감했다.
이에 반해 서해(충남)에서는 2019년 2천333t, 2020년 2천903t, 2021년 3천855t으로 어획량이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오징어 어장 지도가 바뀌고 있는 요인으로는 해수 온도 변화가 꼽히고 있다. 동해안은 최근 수온이 상승하면서 북쪽으로 올라간 오징어가 내려오지 않아 어장이 잘 형성되지 못했다. 반면 서해의 수온은 비교적 많이 오르지 않은 덕분에 동중국해 오징어가 서해로 북상하면서 어장이 잘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 온도상승이 수산물의 주산지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마창성 동부지역본부 부장
오징어의 주산지는 동해안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통계자료를 보면 그것도 아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최근 3년간 강원도 오징어 어획량은 2020년 8천691t, 2021년 6천232t이었다가 2022년에는 무려 2천507t 줄어든 3천725t으로 집계됐다. 경북 동해안 어획량 역시 마찬가지여서 2020년 2만1천768t이던 어획량이 2021년 1만9천246t으로 감소한 데 이어, 급기야 지난해에는 9천819t으로 3년 사이 반토막 이하로 급감했다.
이에 반해 서해(충남)에서는 2019년 2천333t, 2020년 2천903t, 2021년 3천855t으로 어획량이 해마다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오징어 어장 지도가 바뀌고 있는 요인으로는 해수 온도 변화가 꼽히고 있다. 동해안은 최근 수온이 상승하면서 북쪽으로 올라간 오징어가 내려오지 않아 어장이 잘 형성되지 못했다. 반면 서해의 수온은 비교적 많이 오르지 않은 덕분에 동중국해 오징어가 서해로 북상하면서 어장이 잘 형성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해수 온도상승이 수산물의 주산지를 변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마창성 동부지역본부 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