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전기ㆍ가스 요금 관련 당정 협의회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
당정이 15일 전기·가스요금 인상에 대해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상황"이라면서도 사회배려계층에 대해서는 이를 1년 유예한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박대출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전기·가스 요금 관련 당·정 협의회'를 마친 직후 브리핑을 통해 "전기·가스 요금 인상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는 데 당정이 뜻을 모았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정책위의장에 따르면 이날 당정은 요금 인상 단가와 관련해선 급격히 인상하면 국민 부담이 가중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당정이 인식을 같이했다. 때문에 인상 후 국민 부담 완화 방안으로 "일반가구는 7월부터 전기요금 에너지 캐시백(전기·가스 절약 가구 절감량에 따른 현금 지급)의 인센티브 수준과 지급 기준을 확대하는 한편, 누진 구간도 확대하기로 했으며 여름철 냉방비 부담을 완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등 에너지 취약계층의 경우 이번 인상분을 경감해 적용한다. 박 정책위의장은 "인상분 적용을 사회배려계층에 1년간 유예하는 한편 에너지 바우처 대상도 확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소상공인, 뿌리기업에는 전기요금 분할납부제를 실시해 요금 부담을 완화하고 농어민은 요금 인상분을 분산해 반영하기로 했다"며 "이에 따라 전기요금 인상분을 3년간 3분의 1씩 분할 적용해 부담을 덜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이와 함께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도 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전기요금은 ㎾h(킬로와트시)당 8원의 인상 가능성이 유력하게 거론돼왔으며 당정도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가스요금 역시 지난해 인상분인 MJ(메가줄)당 5.47원을 넘지 않는 소폭 인상이 전망된다. 구체적인 인상 폭은 곧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브리핑을 통해 발표할 계획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