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을 주관한 뒤 함께 참관한 국민들에게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
 |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경기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실시된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에서 쌍안경으로 훈련 현장을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
 |
15일 경기도 포천 승진훈련장에서 윤석열 대통령 주관으로 실시된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에서 F-35A가 플레어를 발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15일 '2023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을 주관하며 우리 군의 작전 수행능력을 점검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경기 포천에 있는 승진훈련장에서 열린 연합·합동 화력격멸훈련에서 북한 도발 시나리오를 적용한 연합·합동작전 수행능력을 점검했다고 대통령실이 보도자료를 통해 밝혔다. 2017년 이후 6년만에 개최되는 국가급 훈련으로 건군 75주년 및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역대 최대 규모로 실시됐다는 것이 대통령실 측의 설명이다. 대통령이 훈련을 참관하는 것도 2015년 이후 8년 만이다.
이번 훈련은 북한의 도발 시나리오를 적용한 실기동·실사격 훈련이 이뤄졌으며 '힘에 의한 평화' 구현을 위한 연합·합동작전 수행능력을 점검을 목표로 시행됐다. 71개 부대 한미 장병 2천500여명과 한국군 K-35A 전투기와 K9 자주포, 미군 F-16 전투기와 그레이이글 무인기 등 첨단전력 610여대가 동원됐다.
훈련은 김성민 5군단장 보고로 시작됐으며, 1부 북핵·미사일 위협 대응 및 공격 격퇴와 2부 반격 작전 순으로 진행됐다. 1부 훈련에서는 연합 공중 전력과 K-9, 천무 등을 이용한 대화력전 실사격, 정찰 무인기(드론)를 통한 전장 상황 파악과 공격 헬기, 포병, 직사화기 등의 실사격 등으로 일반전초(GOP) 일대 북한 공격을 격퇴하는 장면이 연출됐다. 2부에서는 먼저 한미 연합 감시·정찰자산으로 식별한 핵심 표적에 대해 공중·포병 전력의 정밀 타격이 이뤄졌다. 이어 지상 공격 부대의 기동 및 사격, 장애물 지대 극복, 한미 연합·합동 부대의 동시 통합사격에 의한 적 부대·진지 초토화, 입체 고속 기동부대에 의한 목표 지역 확보가 진행됐다.
윤 대통령은 훈련 종료 후 외부 관람대로 이동해 훈련을 참관한 국민들에게 인사하고 대표 장병을 격려했다. 이후 전시장으로 이동해 방명록을 작성한 후 한국군 K-808 차륜형 장갑차, 무인 무인체계, 천무, 천궁 등과 미군 다연장로켓발사차량(MLRS) 등 양국 주요 무기체계와 장비를 관람했다.
김은혜 홍보수석은 "윤석열 대통령은 '강한 국군이 지키는 평화'로 압축해서 (이번 훈련의) 의미를 부여한 바 있다"면서 "오늘 훈련이 벌어지는 훈련장은 미군이 최초로 조성하고 우리군이 발전을 시킨 곳이다. 한미동맹 70년의 역사를 상징하는 곳이어서 더욱 의미가 남다르다고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훈련에는 총 2천여명의 참관도 이뤄졌는데 여기에는 공개모집으로 뽑힌 국민참관단 300명과 육·해·공군 참모총장, 해병대사령관, 한미연합사령관, 미8군사령관 등 한미 군 주요 직위자들이 포함됐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