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워치를 착용한 한 시민이 손가락으로 긴급 호출 버튼을 누르기 직전의 모습. 화면 중앙에 붉은 원형 경고 버튼이 크게 표시돼 있다. 이 장치는 경찰 112상황실과 연동돼 위급 상황 시 피해자의 위치와 음성을 실시간으로 전송이 가능하다. <챗GPT 생성 이미지>
이웃 간 갈등이 흉기 위협으로 번진 사건 이후, 경찰이 피해자에게 스마트워치 지급을 검토하고 나섰다. 단순한 장비 제공이 아니라, 재범 방지와 일상 회복을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대구 달성경찰서는 11일 아파트 복도 창문을 여닫는 문제로 다투던 70대 남성 A씨가 이웃 여성을 흉기로 위협한 사건과 관련해 A씨를 특수협박 혐의로 입건했다. 경찰은 피해자의 신변 보호를 위해 스마트워치 지급을 유력하게 검토 중이다.
스마트워치는 위급 상황 시 버튼을 누르면 경찰 112상황실에 위치 정보와 음성 데이터가 실시간 전송되는 장치다. 휴대전화가 없거나 말을 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구조 요청이 가능해, 스토킹·가정폭력·데이트폭력 등 재접근 우려가 큰 사건에서 피해자 보호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경찰청은 2016년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2018년부터 전국 단위로 본격 도입했다. 2021년 '스토킹처벌법' 시행 이후에는 지급 대상이 스토킹 피해자까지 확대됐다. 현재는 전국적으로 약 4천대 안팎이 운용 중이다. 지급 여부는 가해자의 재접근 가능성, 피해자의 불안 호소, 지역별 수요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결정된다.
문제는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스마트워치가 부족해 지급이 지연되거나, 피해자가 사용법에 익숙하지 않아 실질적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럼에도 스마트워치는 '누르면 반응하는 보호장치'라는 점에서 상징성과 실효성을 모두 갖춘 도구로 평가된다. 경찰 관계자는 "물리적 거리만으로는 위협을 막기 어렵다"며 "스마트워치는 위험에 직면한 피해자에게 최소한의 대응 시간을 확보해주는 장치"라고 설명했다.
일상 속 갈등이 언제든 위협으로 비화할 수 있는 현실에서, 피해자 보호장비는 선택이 아니라 삶을 지키는 기초 인프라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