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를 마친 뒤 '퀀텀 코리아 2023' 전시관을 찾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초전도 기반 50큐비트 양자컴퓨터 모형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
![]() |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27일 양자과학기술 분야 주요 석학 및 미래세대들과 만나 디지털 물리 공간 '퀀텀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제안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세미나 '양자과학기술 현재와 미래의 대화'를 주재했다고 대통령실이 보도자료를 통해 전했다. '대한민국 퀀텀의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이번 행사는 우리나라가 양자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양자과학기술 분야 육성 방향 및 글로벌 생태계 조성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개최됐다. 행사에는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존 클라우저 박사와 찰스 베넷 박사(IBM), 존 마르티니스 교수(UC 산타바바라), 김명식 교수(임페리얼칼리지), 김정상 교수(듀크대, IonQ CTO), 최순원 교수(MIT), 김영석 박사(IBM), 양자과학기술 전공 대학생 및 연구자 등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대한민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의 퀀텀 전문가, 법률·회계·비즈니스 전문가들이 함께 연구개발하고 성과를 공유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디지털·물리 공간인 퀀텀 플랫폼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은 "퀀텀 기술의 막강한 파급력을 고려할 때 지난주 파리 '디지털 비전 포럼'에서 제시한 디지털 윤리 원칙 및 규범이 퀀텀기술에도 적용되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대화 종료 후 행사 참석자들과 함께 양자컴퓨터 모형, 양자센서를 활용한 뇌자도 측정 장비 등 전시물을 둘러보며 양자과학기술의 현황과 미래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윤 대통령이 양자과학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1월 다보스포럼을 계기로 스위스를 방문했을 당시 윤 대통령은 스위스연방공대 양자 석학과의 대화 통해 '대한민국 양자과학기술 대도약 원년'을 선포한 바 있다.
한편 양자과학기술은 얽힘·중첩 등 양자역학의 기본 원리를 이용해 정보를 전송하거나 연산을 수행하는 기술을 뜻한다. 이 기술을 활용한 양자 컴퓨터는 여러 계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 정보 처리량과 속도가 기존 컴퓨터에 비해 월등히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신약 개발 기간을 단축하고 차세대 배터리를 설계하는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앞다퉈 양자 컴퓨터를 활용하고 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