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전쟁 영웅 고 백선엽 장군의 3주기 추모식과 동상 제막식이 5일 경북 칠곡군 다부동 전적기념관에서 열렸다.
백선엽 장군은 6·25전쟁 중 낙동강 마지막 전선인 다부동 전투에서 제1사단장을 맡아 전투를 승리로 이끌어 인천상륙작전을 성공할 수 있게 만든 명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날 추모식에는 국민의힘 김기현 당 대표와 이철우 경북도지사, 이종섭 국방부 장관, 백 장군의 장녀 백남희 여사, 폴 러캐머라 한미연합사령관, 역대 육군참모총장과 장병 등 1천여 명이 참석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당 대표]
‘내가 앞장설테니 나를 따르라. 내가 후퇴하면 나를 쏴도 좋다.’라고 하시면서 다부동 전투에서 병사들을 자신의 뒤로 물리고 자신께서 선봉에 서셨던 백선엽 장군님의 명령을 깊이 되새겨 봅니다. 우리나라 최대 위기였던 6·25전쟁 속에서 가장 뛰어난 지휘관으로써 대한민국을 백척간두의 위기에서 구해내신 우리 대한민국의 영웅이셨습니다.
추모식에 앞선 오후 2시, 같은 곳에서 백선엽 장군 동상 제막식이 거행됐다.
이날 제막한 동상은 지난해 말 백선엽장군동상건립추진위원회가 2억5천만 원을 모금하고 경북도가 2억 5천만 원을 보태 높이 4.2m, 너비 1.56m 크기로, 360도 회전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
(다부동 전적기념관)에 이승만 트루먼 동상을 세워놨는데 왜 이런 어른들이 갈 데가 없는 나라가 되었느냐. 아직도 자유 대한민국이 옳게 안 된겁니다. 그런 나랍니다. 그래서 여기 앉아있는 지도자들이 정신 바짝 차리고 새로운 나라 자유 대한민국을 지킬 수 있는 그런 제막식 행사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국가보훈부는 이번 백선엽 장군 동상 건립을 시작으로 6·25전쟁 최대의 격전지였던 낙동강 방어선 일대를 대한민국 자유 민주주의 수호의 성지 호국벨트로 만들겠습니다.
한편, 이날 행사장 앞에서 민족문제연구소 구미지회 회원 20명은 백 장군의 친일행적을 지적하며 동상제막을 반대하는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이형일기자 hilee@yeongnam.com

이형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