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발맞춰 첨단교통관리체계를 구축하려던 대구시의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사진은 지난해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서 열린 '대시민 유상운송 서비스' 출범식에서자율주행차량들이 운행을 시작하고 있는 모습. <영남일보DB> |
자율주행차 상용화 시대에 발맞춰 '첨단교통관리체계(ITS)'를 구축하려던 대구시의 계획에 제동이 걸렸다. 국토교통부가 해당 사업의 내년도 예산 전액 삭감을 통보 했기 때문이다. 예산확보에 난항을 겪으면서 사업이 반쪽짜리로 전락하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대구시는 최근 내년도 첨단교통관리체계 구축사업의 입찰 공고를 취소했다. 기획재정부 예산 심의 과정에서 해당 사업의 내년도 국비 부분이 전액 삭감됐기 때문이다.
'ITS'는 교통수단·시설에 첨단기술을 적용해 교통 흐름을 개선하고, 교통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는 신 교통체계다. 앞서 대구시는 지난해 교통정보 수집 후 인터넷과 스마트폰, 도로전광판(VMS) 등을 통해 운전자에 정보를 제공하는 내용의 4차 ITS 구축사업을 완료했다.
당초 대구시는 올해부터 내년까지 34억원(국비 13억6천만원, 시비 20억4천만원)을 들여 교통수집장치(DSRC-RSE), 도로전광판, 돌발상황감지시스템 등을 마련할 계획이었다. 단절된 일부 구간과 외부순환도로의 차량정체를 개선해 시민의 경로 선택 기회를 확대하고, 이용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내년도 예산으로 책정된 국비 6억8천만원이 기재부에서 전액 삭감되면서 사업 진행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해당 사업은 국고보조금 사업이어서 국비 없인 시비 매칭이 불가능하다.
예산확보에 차질을 빚으면서 기존 계획의 변경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당초 대구시는 내년 ITS 구축사업 대상지로 △서재초등~위생처리장교차로(4.9㎞) △상화로~앞산순환로(11㎞) △수목원입구삼거리~상동교(11㎞) △파동네거리~산격대교(12.4㎞) 등 총 56.7㎞ 구간을 선정했지만, 절반 이상이 날아갈 처지에 놓였다. 대구시는 급한 대로 사업 규모를 축소해 재설계한 후 내년 초 입찰 사업자를 다시 선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정자 대구시 교통정보센터장은 "갑자기 국토부에서 내년도 예산 미반영을 알려와 당황스럽다. 최근 국토부를 찾아 관련 대책 회의를 가졌다"며 "사업비가 절반으로 줄면서 사업 규모도 상당 부분 축소해 재설계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