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왼쪽부터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한동훈 법무부 장관,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연합뉴스 |
비대위원장에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 한동훈 법무부 장관,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인요한 전 혁신위원장 등이 거론된다.
국민의힘은 14일 최고위원회의와 3선 이상 중진연석회의를 잇따라 열고 열어 지도체제를 비대위로 전환하기로 했다.
당 대표 권한대행을 맡은 윤재옥 원내대표는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새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 수 있는 상황이 안된다고 의견이 모아져 비대위 체제로 빨리 체제를 구성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비대위원장 후보로) 국민 눈높이에 맞고 공감을 얻을 수 있는 분, 선거를 앞두고 총선 승리라는 지상 과제를 우리가 달성하는 데 능력과 실력을 갖춘 분을 기준으로 가급적 빠른 시간 안에 선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윤 원내대표는 "정치인인지 아닌지는 선택의 기준이 아니다"라며 "총선 승리라는 어려운 일을 잘 할 수 있는 분이면 다른 제약은 없다. 물론 객관적인 흠결 사유가 있어선 안 된다"고 했다.
당 안팎에선 비대위원장 후보군을 놓고 하마평이 쏟아지고 있다.
윤 대통령의 '숨은 책사'로 불리는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이 거론된다. 윤석열 후보 캠프 당시 합류해 새 정부 출범을 도운 김 위원장은 지속해서 윤 대통령과 연락을 주고받으며 정치적 조언을 하는 인물로 알려져 있다. 다만 민주당 출신으로 대구경북(TK)을 비롯한 주류 보수층이 거부감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당내 주류 의원들 사이에서는 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비대위원장을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높은 인지도와 화려한 언변으로 '스타성'을 갖춘 한 장관이 수도권 분위기 반전을 위해 반드시 등판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 정부에 다수 기용된 '검사' 출신인 데다 현직 장관 신분인 점, 선거를 치러본 경험이 전혀 없는 점은 부담이다.
김 위원장과 한 장관 모두 윤 대통령의 신임이 각별한 것으로 알려져 오히려 단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주류 희생' 혁신안으로 쇄신 분위기를 만들어 낸 인요한 혁신위원장에게 비대위원장을 맡겨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원희룡 장관이나 지난 전당대회 때 '윤심'(尹心·윤 대통령 의중) 논란 속에 당권 도전을 접었던 나경원 전 의원, 김병준 전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도 거론된다. 윤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안대희 전 대법관도 후보군에 오르내리고 있다.
국민의힘은 15일 의원총회를 열어 비대위원장 인선 등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