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민의힘 정영환 공천관리위원장이 14일 여의도 당사에서 제22대 총선을 앞두고 1차 단수추천 지역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가 14일 발표한 4.10 총선의 첫 공천 의미는 '시스템 공천'으로 요약된다. 이른바 '용산 출신'이 단 한 명도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40년 지기'로 알려진 석동현 전 검사장도 '컷오프'되면서 친윤(친 윤석열)도 시스템 공천에 예외가 없다는 원칙이 확인됐다.
이날 국민의힘 공관위는 서울(19명)·광주(5명)·제주(1명)의 25명 단수 공천 후보자를 발표했다. 여기에는 전·현직 의원들이 대거 포함됐다. 정치권에선 서울 49개 지역구 중 19곳을 이날 단수 추천 지역으로 확정한 데 주목했다. 일찌감치 후보를 확정, 야당 후보와 본선에서 맞설 대비를 하도록 한 것으로 풀이된다. 나머지 30곳은 경선 또는 우선 추천(전략 공천), 재공모 지역으로 분류할 예정이다.
정치권은 윤석열 정부 1기 내각 출신 가운데 권영세 전 통일부 장관(서울 용산)을 제외하고 이영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서울 중구-성동구을), 박민식 전 국가보훈부 장관(서울 영등포구을), 박진 전 외교부 장관(서울 강남구을) 모두 단수 공천 대상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더욱이 여명, 김성용 등 대통령실 출신 인사들도 단수 추천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대부분 경선을 치뤄야 할 상황이다.
당 일각에선 서울 등 수도권 공천 신청자들의 지역구 조정 문제를 두고는 고심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부산·경남(PK) 중진 의원 지역구 재배치를 한 것과 달리, 전·현직 의원이나 용산 출신 등이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일부 선거구에선 당사자들이 경선을 치르겠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장동혁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후보자들이 원치 않으면 지역구 인위적 재배치는 없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때문에 물밑 설득 후에는 강제 조정을 하기보다 경선을 치르도록 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정치권은 '한동훈표 공천'에 대해 '공천 파동'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란 분석을 내놓고 있다. 향후 대구·경북(TK) 공천에서도 공천 파동의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전략 공천을 최소화할 것이란 분석이다. 지역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대구경북을 비롯해 영남권의 공천 심사에서도 시스템 공천 기조가 반영될 지 아직 확신하기 이르다"면서 "전략공천이나 단수 추천은 최소화 하겠지만 용산 및 친윤 예비후보자들에 대해서는 공관위도 고심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