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혁신도시에 위치한 이전공공기관인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전경.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제공> |
우리나라의 산업기술 수준이 세계 최고인 미국의 88%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같은 기술 격차를 극복하려면 9개월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은 '2023년 산업기술수준조사 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미국·EU·한국·일본·중국 등 5개국의 기술수준과 기술격차 등을 설문조사(전문가 2천722명) 한 내용을 토대로 작성됐다. 이 보고서를 보면 국내 산업기술 수준은 최고 기술국 미국과 비교했을 때 88.0%, 기술격차는 0.9년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준으로 EU의 산업기술 수준은 93.7%(기술격차 0.39년), 일본은 92.9%(0.43년), 중국은 83.0%(1.2년) 등이었다.
우리나라 기술수준은 2021년(86.9%) 대비 1.1% 포인트 상승했다. 하지만 최고 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0.8년에서 0.9년으로 더 벌어졌다.
25대 산업기술 분야별로 살펴보면, 한국은 미래형 디스플레이(미국의 100%) 분야에서 기술 수준이 가장 높았다.
반면, 차세대 항공(74.6%)과 3D 프린팅 기술(78.1%) 분야에선 기술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국별 강점이 있는 기술 분야를 보면, 미국은 디스플레이·2차전지 등을 제외한 대다수의 산업기술 분야에서 가장 높은 기술 수준을 보였다.
EU는 첨단제조공정 및 장비, 조선 해양플랜트 분야에서 최고 기술력을 보유했다. 일본의 경우 세라믹·탄소소재·뿌리기술 분야에서 굳건한 기술력을 갖고 있었다.
세부기술(74개)로 세분화해보면 한국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개분야 )및 2차전지(2개 분야 )등 총 7개 기술 분야에서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대비 1개 분야(리튬 2차전지)가 증가한 것. 이분야에서 최고 기술력을 자랑하던 미국을 추월한 것이다.
향후 한국이 주요 기술선진국과의 기술격차를 줄이기 위해선 연구개발 투자 확대(47.6%), 국내외 산·학·연 협력 강화(14.3%)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윤종 KEIT 원장은 "높은 기술수준을 갖춘 분야라도 글로벌 경쟁이 가속화되는 추세"라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기술개발에 더 매진해서 글로벌 초격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