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2일 대구 서구청 4층 사무실에서 발생한 이동식 CCTV 배터리 화재 모습. 대구 서부소방서 제공. |
![]() |
그래픽=장수현기자 |
19일 대구소방본부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 오전 5시 41분쯤 북구 복현2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충전 중이던 CCTV 배터리에 불이 났다. 해당 CCTV 배터리는 쓰레기 무단투기 등을 감시하는 이동식 CCTV 배터리다.
앞서 지난 12일엔 서구청 4층 사무실에서 이동식 CCTV 배터리에서 화재가 발생해 수백 명의 서구청 직원이 대피하는 소동이 빚어졌다.
이날 기준으로 대구 9개 구·군 CCTV 현황을 살펴보면, 이동형 CCTV는 총 511대다. 이 중 56.1%인 287대가 배터리 충전형이다. 북구가 156대로 가장 많았고 서구(71대), 달서구(30대), 중구(24대) 순이었다. 동구, 남구, 달성군은 배터리 충전형 CCTV를 쓰지 않았다.
대구에서 나흘 새 2건의 CCTV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자 각 지자체는 대응 방안 마련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북구와 서구는 CCTV 예비 배터리를 모두 수거해 안전한 장소에 일괄 보관키로 했다. 또 기존 배터리에 대한 안전 점검을 실시하는 한편, 배터리 충전 구역을 새로 변경하고 충전기도 교체할 방침이다.
북구 관계자는 "CCTV 배터리를 전량 회수한 뒤 80%만 충전되는 배터리로 새로 보급할 계획이다. 또, 근무시간에만 배터리를 충전하고, 충전 구역을 사람이 드문 장소로 바꾸는 등 배터리 화재에 대한 재발 방지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소방본부도 "공공기관 등에 최근 발생한 CCTV 배터리 관련 화재를 알리고, 배터리 보관 등 안전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수 있도록 공문을 보낼 예정"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화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화재 유형에 맞는 명확한 매뉴얼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백찬수 대구보건대 교수(소방안전관리과)는 "최근 발생한 CCTV 배터리 화재의 경우 금속 화재 전용인 D급 소화기를 사용해야 하고, 전기차 배터리 화재라면 A~C급 소화기를 쓰는 게 불을 끄는 데 도움이 된다"며 "같은 배터리 화재임에도 종류에 따라 이처럼 대응책이 달라진다. 아직 화재 대응에 대한 소방 매뉴얼과 소방법이 명확하지 않다. 배터리 화재는 그냥 주변에 비치된 소화기로 불을 끄는 데 한계가 있는 만큼, 명확한 매뉴얼 설정과 소방법 개정이 절실하다"고 조언했다.
이남영기자 lny0104@yeongnam.com

이남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