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미존재 전국 시군구 현황. |
대구 군위군에 거주하는 30대 김모씨는 최근 첫 아이를 임신했지만, 출산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주변에 산부인과가 없어 한 달에 한 번씩 대구에 있는 병원까지 왕복 2시간을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매번 긴 이동 시간과 교통비 부담 때문에 진료를 미루고 싶은 마음이 컸지만, 뱃속 아이 건강을 생각해 고된 여정을 감내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에서 7개 시·군에 산부인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에선 임산부의 의료 접근성이 크게 떨어지면서 출생아 수가 계속 줄어들고 있고, 지역 간 의료 불균형도 더욱 심화 되고 있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전국에서 산부인과가 없는 시군구는 모두 23곳이었다.
이중 경북에서는 청송군, 영양군, 고령군, 성주군, 봉화군, 울릉군 등 6곳이었다. 대구에서도 군위군이 산부인과 부재 지역에 포함됐다. 이들 지역 임산부들은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필수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해야 하는 불편과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군위군의 출생아 수는 2019년 79명에서 2023년 57명으로 줄었다. 27.8%의 감소율이다. 열악한 산부인과 의료 접근성이 출산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경북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청송군, 영양군, 성주군, 봉화군 등의 지역에서는 지난 5년 동안 출생아 수가 50% 이상 감소했다. 특히 봉화군은 2019년 141명이었던 출생아 수가 2023년 59명으로 급감했다. 감소율이 58.2%에 이른다.
이는 산부인과 부재가 지역 주민들에게 큰 부담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의료 공백으로 인해 임산부들은 출산을 포기하거나 미루게 되는 경우가 많다.
출생아 수 하위 30위권에 속한 시군구 중 절반 이상이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이라는 점도 문제의 심각성을 잘 보여준다.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 주민들은 임신 중 정기적인 진료를 받기 어렵고, 응급 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생긴다.
최기상 의원은 "산부인과 부재 상황이 지속되면서 해당 지역의 출생아 수 감소는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이 크다"며 "정부는 산모와 태아가 지역에 관계 없이 균등한 의료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강승규 기자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