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지역 공공의료 체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공중보건의가 없는 보건소가 급격히 늘어나는가 하면, 음압격리병상 확충도 지지부진하기 짝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 인프라 부족은 결국 지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경기 부천갑)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대구와 경북의 보건지소 상당수가 공중보건의사(공보의) 없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경우 보건지소 209곳 중 82곳(39.2%)에 공보의가 배치되지 않았다. 작년 50곳보다 64%(32곳) 더 늘어난 것이다.
대구도 8곳 중 3곳(37.5%)이 공보의가 없는 상태다. 지난해 대구의 공보의 미배치 보건소는 2곳이었다.
공보의 없는 보건지소가 늘어난 배경엔 의정 갈등이 도사린다. 전공의가 빠진 병원에 공보의가 대거 파견되면서, 정작 보건소에 공보의 부족 현상이 심화된 것이다.
이로 인해 대구경북지역 보건지소 운영에 차질을 빚으면서, 만성질환자와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공공의료 서비스를 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 의원은 "공보의 부족으로 지역 의료의 최후 보루인 보건지소마저 붕괴 위기에 처했다"며 "특히 의료 취약지역 주민들의 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는 만큼 정부가 책임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염병 대응에 필수 시설인 음압격리병상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감염병 관리기관 음압격리병상 현황'에 따르면, 대구는 34개, 경북은 30개에 불과하다.
이는 제주와 세종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 가운데 12위와 13위로, 최하위권에 머무는 수준이다.
중환자 격리 병상의 경우 대구와 경북은 각각 4개(공동 14위)에 그쳐, 중증 환자 치료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구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음압병상 부족은 감염병 확산 시 대응력을 저하시킬 수밖에 없어 지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영석(경기 부천갑)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6월 기준 대구와 경북의 보건지소 상당수가 공중보건의사(공보의) 없이 운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북의 경우 보건지소 209곳 중 82곳(39.2%)에 공보의가 배치되지 않았다. 작년 50곳보다 64%(32곳) 더 늘어난 것이다.
대구도 8곳 중 3곳(37.5%)이 공보의가 없는 상태다. 지난해 대구의 공보의 미배치 보건소는 2곳이었다.
공보의 없는 보건지소가 늘어난 배경엔 의정 갈등이 도사린다. 전공의가 빠진 병원에 공보의가 대거 파견되면서, 정작 보건소에 공보의 부족 현상이 심화된 것이다.
이로 인해 대구경북지역 보건지소 운영에 차질을 빚으면서, 만성질환자와 고령 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이 공공의료 서비스를 받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서 의원은 "공보의 부족으로 지역 의료의 최후 보루인 보건지소마저 붕괴 위기에 처했다"며 "특히 의료 취약지역 주민들의 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는 만큼 정부가 책임 있는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감염병 대응에 필수 시설인 음압격리병상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감염병 관리기관 음압격리병상 현황'에 따르면, 대구는 34개, 경북은 30개에 불과하다.
이는 제주와 세종을 제외한 전국 15개 시·도 가운데 12위와 13위로, 최하위권에 머무는 수준이다.
중환자 격리 병상의 경우 대구와 경북은 각각 4개(공동 14위)에 그쳐, 중증 환자 치료에 심각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구의 한 대학병원 관계자는 "음압병상 부족은 감염병 확산 시 대응력을 저하시킬 수밖에 없어 지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강승규 기자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