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급증한 우리나라 1인 가구가 주거비 부담과 취업난 등으로 씀씀이를 줄이면서 국내 전체 소비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3일 공개한 '최근 1인 가구 확산의 경제적 영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가구원 수별 2019∼2023년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가처분소득) 변화 조사에서 1인 가구의 감소율이 5.8%(0.78→0.74)로 가장 높았다. 이어 3인 가구 -4.3%(0.69→0.66), 2인 가구 -2.5%(0.71→0.69), 5인 이상 -1.8%(0.77→0.76), 4인 가구 -0.5%(0.74→0.73) 순으로 소비 위축의 정도가 심했다.
1인 가구의 평균소비성향 약화의 원인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면서 오른 주거비가 꼽혔다.
1인 가구 지출 가운데 2023년 기준 월세 등 주거·수도·광열비 비중이 평균 2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지속해서 높아진 월세가 청년층 1인 가구의 소비를 제약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고령층 1인 가구는 코로나19 경제 충격 당시 임시·일용근로 일자리가 크게 줄면서 겪은 '상흔(상처) 효과'가 상당 기간 이어져 소비를 줄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2023년 기준 세 가구 중 한 가구가 1인 가구이고, 전체 소비 지출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약 20%에 이르는 상황에서 이들의 소비 위축은 우리나라 전체 소비 회복까지 구조적으로 제약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한은은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주거비 부담 해소를 위한 주거 안정 대책이 절실하고, 고령층 1인 가구는 열악한 고용·소득 문제를 해결하는 빈곤 대책이 우선 실행돼야 할 것"이라고 했다.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