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미하이테크밸리 분양완료 1년 4개월 지났지만, 신호등도 고장, 대중교통도 없어

  • 박용기
  • |
  • 입력 2024-12-19  |  수정 2024-12-20 11:40  |  발행일 2024-12-20 제10면
한국수자원공사 책임론 제기

공공인프라 시설 하자 많아 구미시 이관 늦어져

이지연 시의원 5분발언 문제 해결 촉구
구미하이테크밸리 분양완료 1년 4개월 지났지만, 신호등도 고장, 대중교통도 없어
이지연 구미시의원이 5분 자유발언을 하고 있다.<구미시의회제공>
구미하이테크밸리 분양완료 1년 4개월 지났지만, 신호등도 고장, 대중교통도 없어
이지연 구미시의원

경북 구미 하이테크밸리(5공단)의 공공인프라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8월 1단계 분양을 완료하고, 2단계 분양 준비에 들어갔다. 하지만 아직 6차선 도로에 신호등이 들어오지 않고 대중교통이 없어 자가용이 없이 출퇴근이 어려운 상황이다. 기업 유치 및 추가 투자를 위한 기업지원시설, 공영주차장, 바이어를 위한 편의시설 등도 부족하다.

문제 해결이 늦어지는 원인으로 구미 하이테크밸리 조성 및 분양을 책임진 한국수자원공사의 책임론이 제기됐다. 구미시에 따르면 한국수자원공사가 구미 하이테크밸리의 도로, 신호등, 가로수, 공영주차장 등의 공공인프라를 조성한 후 구미시로 이관해야 하지만 점검 결과 시설물에서 하자가 발생, 이관 절차가 늦어지고 있다. 구미시는 수리를 위한 추가 예산이 필요한 하자 시설물을 넘겨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시는 한국수자원공사에 여러 차례 보완을 요청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지연 시의원도 지난 17일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문제 해결을 강하게 촉구했다. 이 시의원은 "한국수자원공사로부터의 시설물 인수인계 이관 절차가 지연되면서 구미 하이테크밸리 입주기업의 이용계획에 재정적 피해와 불편을 주고 있다"며 "기업들이 정상적인 사업을 하지 못해 발생하는 불편함으로 인하 피해는 누가 책임질 것이냐"고 우려했다. 이어 "산업입지 및 개발에 관한 법률에 따라 수익용지가 총면적 10% 이상이 되면 매각 수익 일부를 분양가 인하 등을 위해 사용할 수 있음에도 수자원 공사는 수익용지 7%만을 분양해 평당 86만 원이라는 높은 분양가를 고수한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분양가 인하 요구에 요지부동이던 수자원공사는 구미 하이테크밸리(1단계) 미분양사태가 지속하던 2021년 8월에야 수익성 용지를 7%에서 13%로 확대해 분양가를 73만9천 원(평당)으로 인하했다. 이 시의원은 "주요 교통망과의 접근성이 뛰어난 구미 하이테크밸리는 물류 이동의 효율성이 높고 이미 조성된 공단과의 연계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만큼 더욱 적극적인 정책 지원에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박용기기자 ygpark@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용기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