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종윤기자 (사회2팀) |
3월 신학기를 한 달가량 앞둔 현재, AI(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 도입은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지난달 21일 정부가 재의요구권(법률안 거부권)을 행사하면서 교과서 지위를 회복했다. 공은 다시 국회로 넘어갔다. 곧 재표결을 거치게 된다. 다만 교육부는 국회 재표결 결과와 상관없이 올해는 AI 교과서 도입 여부를 학교 선택에 맡기기로 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AI 교과서를 교과서 지위에서 교육자료로 격하하는 초·중등교육법 개정안이 더불어민주당 주도로 국회를 통과했다. 지난달 17일 국회에서 열린 AI 교과서 검증 청문회에서도 여야 간 첨예한 갈등을 보였다.
대구에는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강은희 대구시교육감이 3월 AI 디지털교과서 도입을 목표로 강하게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 교육계는 도입에 대해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일부 교사들은 예산 투입 대비 학습 효과가 미비하다고 주장한다.
대구의 한 초등교사는 "가장 큰 문제는 AI 교과서 효과가 투입된 예산에 비해 크지 않다는 점이다. 지금도 여러 보조 교재를 통해 부족한 학습을 충족할 수 있다"며 "각 시·도교육청이 AI 교과서 관련 예산을 모두 부담해야 하는데 장기적으로 그만큼 타 사업 재원에서 충당할 수밖에 없다"고 비판했다.
이미 AI가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는 만큼 교육분야에도 시도해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또 다른 교사는 "전국 시·도별로 AI 교과서 도입 준비율이 천차만별인 탓에 계속 잡음이 일고 있다"며 "현재 세계는 AI를 여러 분야에 적용해 끊임없이 발전하는데 교육에도 시도해 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했다.
지역 AI 교과서 도입 여부 문제는 이달 중순까지 이어질 태세다. 각 학교 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학교장이 최종 결정한다. 늦어도 이달 둘째 주까진 마무리해야 3월 운영이 가능하다. 대구는 시교육청의 도입 의지에 따라 전면 시행 가능성이 높다.
AI 교과서 구독료 협상 문제도 남아있다. 교육부와 교재개발업체들 간 가격차가 최대 3~4배다. 기존 종이 교과서에 비해 큰 금액 차를 보인다면 갈등의 불씨가 되살아날 여지는 있다.
AI 교과서가 처음 도입되는 초등 3∼4년 , 중1, 고1에겐 배움이라는 재미를 느낄 시기다. 또 다른 누군가에겐 대입을 위한 기반으로 보고, 입시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시점이기도 하다. AI 교과서는 도입 이전부터 정쟁 도구화된 측면이 있다. 정부·국회·시도교육청·교사는 오롯이 학생의 학업 향상 측면에서 냉철하게 들여다보고 판단해야 한다.
김종윤기자〈사회2팀〉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