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통계는 물론 지역별 정주 환경과 투자입지 분석까지 한 번에…"
경북도가 최근 '경북도 인구-산업통합플랫폼 GBinPLUS+' 2단계 서비스 운영에 돌입했다. GBinPLUS+는 경북도와 LX한국국토정보공사가 함께 구축한 공간정보 기반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이다. 지역 공무원들이 보다 쉽게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도는 1단계 사업으로 인구·통계 플랫폼을 만든데 이어 2단계 사업을 통해 생활·투자·상권 입지 분석, 청년 공간, 외국인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를 추가 개발했다.
GBinPLUS+는 데이터 분석 시각화(지도·차트·그래프) 서비스를 구현해 이용자가 관련 정보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특히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실제 정주 환경 분석에도 분야별 생활 SOC 58종 데이터가 쓰였다. 기업과 관련한 서비스도 눈길을 끈다. 투자 입지 분석부터 산업투자 분석, 유동인구 분석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지역 기업에 보다 신속·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경북도는 향후 3단계 사업을 통해 내재화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 AI·데이터 기반 플랫폼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플랫폼 활용도와 인지도를 높여, 실제 사용 후기와 아이디어 등 피드백을 반영해 더욱 고도화된 플랫폼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공공·행정 분야 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경북도가 최근 '경북도 인구-산업통합플랫폼 GBinPLUS+' 2단계 서비스 운영에 돌입했다. GBinPLUS+는 경북도와 LX한국국토정보공사가 함께 구축한 공간정보 기반의 데이터 분석 플랫폼이다. 지역 공무원들이 보다 쉽게 정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도는 1단계 사업으로 인구·통계 플랫폼을 만든데 이어 2단계 사업을 통해 생활·투자·상권 입지 분석, 청년 공간, 외국인 통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를 추가 개발했다.
GBinPLUS+는 데이터 분석 시각화(지도·차트·그래프) 서비스를 구현해 이용자가 관련 정보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게 특징이다. 특히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제공한다. 실제 정주 환경 분석에도 분야별 생활 SOC 58종 데이터가 쓰였다. 기업과 관련한 서비스도 눈길을 끈다. 투자 입지 분석부터 산업투자 분석, 유동인구 분석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지역 기업에 보다 신속·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경북도는 향후 3단계 사업을 통해 내재화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 AI·데이터 기반 플랫폼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 플랫폼 활용도와 인지도를 높여, 실제 사용 후기와 아이디어 등 피드백을 반영해 더욱 고도화된 플랫폼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공공·행정 분야 인프라 구축 및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박종진기자 pjj@yeongnam.com

박종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