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인구 50만 회복 '철강·2차전지 복병'

  • 전준혁
  • |
  • 입력 2025-03-18  |  수정 2025-03-18 08:09  |  발행일 2025-03-18 제11면
뿌리산업 부진 상황 더 악화

사회적 인구 '순유입' 타격

시, 특별법 등 맞춤형 대책

5대 분야 73개 사업도 추진
경북 포항이 지속적인 인구 감소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지역 뿌리산업인 철강과 2차전지마저 흔들리면서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17일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포항시 인구는 10년 전인 2015년 51만9천584명으로 52만명에 육박했다. 이후 인구가 계속 줄면서 2024년 말 기준 49만1천581명으로 내려앉았다. 9년 동안 약 2만8천명가량이 빠진 것으로, 인구 사수를 위해 민·관에서 노력했지만 역부족이었다.

2021년 포항시 주소이전 지원금 지급사업 및 포항사랑 주소갖기 운동 등의 효과로 감소 6년 만에 936명이 '반짝' 증가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듬해인 2022년에 결국 50만명 아래로 떨어졌고, 이 추세대로라면 향후 1~2년 안에 49만명 선마저 무너질 것이란 암울한 예측마저 나오고 있다.

더욱이 최근 철강과 2차전지 산업 침체로 포항 경제에 먹구름이 드리우며 전출에 따른 '사회적 감소'가 심화될 것이란 우려를 낳고 있다.

이 같은 위기 상황은 2017년부터 그 조짐을 보였다. 2017년을 기점으로 포항 전입자 수 대비 전출자 수가 급증했다. 당시에도 철강산업 침체 등으로 인한 지역경기 악화와 지진 발생 등으로 인한 탈포항 현상이 발생했었다.

최근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이 연달아 공장 가동을 중단하고 타 지역 전환 배치 신청을 받는 등 상황이 악화되자, 포항시는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 제정 등을 정부에 건의해 추가적 위기를 막는다는 계획이다.

포항시는 2차전지 산업에도 맞춤형 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지난해 2차전지 중심으로 일자리가 증가함과 동시에 사회적 인구가 순유입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실제 2024년은 전출자 대비 전입자 수가 185명 순유입을 기록했으며, 25~54세와 자녀 세대인 0~14세 유입이 함께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시는 청년 인구 유입에 집중하고 있다. 약 370억원을 투입해 청년을 위한 △일자리 △교육 △복지·문화 △주거 △참여·권리 5대 분야에서 73개 사업을 추진한다.

포항시 관계자는 "지역 산업이 무너지면서 인구가 빠져나가기 시작하면 모든 것이 마비될 것"이라며 "먼저 경제 활동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청년들을 유치할 수 있도록 '일자리-교육-자산-주거'로 이어지는 희망사다리 구축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전준혁기자 j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전준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