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총부채. 영남일보AI생성
우리나라의 가계·기업·정부 부채를 모두 합한 '국가총부채'가 6천200조를 넘어섰다. 사상 최대 규모로, 경제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0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한국의 비금융부문 신용 규모는 6천222조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같은 기간보다 250조원(4.1%), 직전 분기보다 55조원(0.9%) 늘어난 수준이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부채가 2천798조원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가계부채 2천283조원, 정부부채 1천141조원 순이었다.
비금융부문 신용은 국가 간 비교를 위해 자금순환 통계를 기반으로 한 지표로, 가계·기업·정부의 부채를 합산한 개념이다. 흔히 '국가총부채'로 불린다.
우리나라 총부채는 코로나19 팬데믹이 한창이던 2021년 1분기에 처음 5천조원을 돌파한 뒤 지속적으로 늘어왔다. 이후 2023년 4분기엔 6천조원을 넘어섰고, 최근까지 상승세가 이어지는 상황이다.
특히 정부부채가 가장 가파르게 늘었다.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정부부채는 1천141조원으로 1년 만에 120조원(11.8%)이 급증했다. 같은 기간 기업부채는 약 80조원(2.9%), 가계부채는 약 46조원(2.1%) 증가했다.
다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다소 완화됐다. 지난해 3분기 말 GDP 대비 총부채 비율은 247.2%로, 2021년 2분기(247.0%)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부문별로는 GDP 대비 기업부채 비율이 2023년 3분기 말 114.7%에서 지난해 3분기 말 111.1%로 떨어지며 4분기 연속 하락했다. 가계부채 비율도 같은 기간 94.5%에서 90.7%로 내려가 2020년 1분기(90.0%)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반면 정부부채 비율은 상승세가 뚜렷했다. 2022년 4분기 41.5%에서 2023년 1분기 44.1%로 급등한 뒤 지난해 3분기 말 45.3%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전문가들은 국가 총부채 증가가 장기적인 경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이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