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 연합뉴스
국내 중소기업 10곳 중 4곳이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부과로 수출 및 매출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시급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관세정책 관련 정보 제공이 첫손에 꼽혔다.
중소기업중앙회와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 17~26일 중소기업 600개 사를 대상으로 '美 철강·알루미늄 관세부과 관련 중소기업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중소기업의 42.8%가 미국의 관세부과로 수출이나 매출에 영향을 받았다고 답했다.
미국의 관세부과로 인해 중소기업이 겪는 애로사항(복수응답)으로는 '미국 관세 정책에 대한 정확한 파악 어려움'을 꼽은 기업이 41.8%로 가장 많았다. 이어 '관세 리스크로 인한 물류비 상승'(38.2%), '수출국 다변화 비용 발생'(36.5%)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응답 기업 중 32.5%는 관세 대응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준비 중인 내용(복수응답)으로는 △생산비용 등 자체 비용 절감 노력(52.8%) △미국 거래처와 관세 부담 논의(51.8%) △유관기관 설명회 참여 등 정보탐색(30.8%) 등의 순이었다.
관세부과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복수응답)으로는 '관세 관련 정보제공'(51.3%)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았다. '물류비 지원 강화'(46.7%), '정책자금 지원'(40.5%), '법무·회계법인 등 관세 컨설팅'(24.8%) 등의 응답도 나왔다.
관련 파생상품 수출기업 중에서는 43.4%가 파생상품 수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변했다. 파생상품 수출 관련 정부 지원책(복수응답)으로는 △미국 HS코드 확인을 위한 전문 컨설팅(42.4%) △철강·알루미늄 함량 계산 컨설팅(41.4%) △통관 절차 등에서의 서류 대행(33.5%) 등의 순이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가 확산하면서 국내 중소기업들의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며 “전문인력과 정보가 부족한 중소기업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