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상목 경제부총리. 기획재정부 제공.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됐다. 준비된 시장안정조치를 적기 시행하고 통상환경 변화 대응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이날 전국은행연합회관에서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금융감독원장과 함께 거시경제·금융현안간담회를 열고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외 금융·외환시장 동향을 점검하고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며 이같이 말했다.
최 부총리는 “오늘 새벽 미국 정부는 관세율 10%를 기본으로 한국 25%, 일본 24%, EU 20%, 중국 34%, 대만 32% 등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조치를 발표했다"며 “글로벌 금융시장은 발표 직후 달러 가치가 상승하고 미국 국채금리 및 증시 선물 지수가 하락하는 등 전반적으로 위험회피 심리가 높아진 모습을 보였다"고 분석했다.
이어 그는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조치로 당분간 글로벌 금융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국내 금융·외환시장도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며 “정부는 그간 금융·외환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비해 상황별 대응계획(contingency plan)을 철저히 준비해왔다.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경우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조치를 즉각 시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또 “시장 상황이 충분히 안정될 때까지 관계기관 합동 24시간 점검체계를 지속 가동하고 외환·국채·자금시장 등 각 분야별 점검체계도 운영하겠다"며 “높은 상호관세 부과가 현실로 다가온 이상 본격적인 대응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다짐했다.
세부 지원 방안에 대해서는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자동차 등 피해 예상 업종별 지원, 조선 RG 공급 확대 등 상호관세 대응을 위한 세부 지원방안을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최 부총리는 “정부가 제안한 10조원 규모의 '필수 추경'에도 무역금융, 수출바우처 추가 공급, 핵심품목 공급망 안정 등 통상 리스크 대응 사업을 적극 반영할 것"이라며 “우리 기업들이 전례 없는 통상 파고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국회에서 신속히 논의해 주시기를 간곡히 요청드린다"고 당부했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