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재훈 달성군수(왼쪽 여섯 번째)를 비롯한 유관 기관 관계자들이 지난해 12월1월 군청 상황실에서 열린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지원사업 업무협약식'에서 협약서를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달성군 제공>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은 지역경제의 모세혈관이다. 하지만 고금리·고물가·고환율 등 이른바 '경제 삼중고' 탓에 현실은 녹록지 않다. 자금줄은 막히고 인력은 태부족하다. 근로환경도 열악한 곳이 적잖다. 결국 기업 현장에 숨통을 틔워주기 위해 달성군이 팔을 걷어붙였다. '기업하기 좋은 도시'를 만들겠다는 기조 아래 자금·복지·고용을 아우르는 종합 지원책을 내놨다.
올해 첫 시행된 600억원 규모의 '중소기업 경영안정자금 이차보전 지원사업'은 그 출발점이다. 자금난을 겪는 중소기업에 기업당 최대 3억원 가량 대출 기회를 제공하고, 1년간 연 3%의 이자를 달성군이 지원한다. 상·하반기로 나눠 총 600억 원이 편성됐다. 상반기분 300억원(106개 기업)은 조기 소진됐다. 오는 7월 7일부터 하반기 신청(300억원) 접수를 받는다.
보증제도를 통한 간접 지원도 발 빠르게 추진되고 있다. 달성군은 중소기업의 금융 접근성을 높이고자 지역 최초로 기술보증기금에 10억원을 출연, 총 150억원 규모의 특례보증 상품을 마련했다. 기술력은 있지만 담보가 부족한 기업들이 자금 사각지대에 놓이는 것을 막기위해 보증비율을 높이고 보증료는 낮춘다.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기업이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해 재도약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조치다.
소상공인 대상 특례보증도 별도로 운영한다. 달성군은 대구신용보증재단에 10억원(1차 7억 원, 2차 3억 원)을 출연해 총 120억원 규모의 보증 한도를 확보했다. 이미 1차분으로만 377건, 84억 원이 지원됐다. 당초 5월로 예정됐던 2차 지원은 현장의 긴급 수요에 대응하고자 4월로 앞당겨 시행됐다.
달성군은 기업 운영의 질적 기반을 다지는 데도 주력하고 있다. 그중 하나가 근로자 복지 향상 차원의 '기숙사 임차비 지원사업'이다. 작년에 이어 올해는 예산을 5천만원 증액하고, 기회발전특구 입주 기업에 대해선 우대 항목을 신설했다. 산업단지와 신성장동력 거점지로 기능하도록 기회발전특구의 조기 정착을 돕는 조치다.
이 사업은 45세 이하 근로자에게 기숙사를 제공하는 기업에 대해 근로자 1인당 월 최대 30만원, 기업당 최대 5명(외국인 2명 포함 가능)까지 임차비를 지원한다. 현재까지 내국인 27명, 외국인 35명 등 근로자 62명(27개 기업)이 혜택을 받고 있다. 중소기업은 인재 유치 및 유지에 실질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근로자는 주거 안정을 통한 일·삶의 균형이 가능해진다.
지원의 분절성을 해소하고 행정 효율을 높이기 위한 조직 개편도 추진된다. 오는 7월 개소 예정인 '기업+일자리 지원센터'는 기업 지원과 일자리 정책을 통합하는 거점 공간이다. 정책 안내부터 채용 연계, 애로 상담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재훈 달성군수는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현장 목소리에 더욱 귀 기울이고, 청년과 지역 주민이 안정적으로 일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며 "기업과 사람이 함께 성장하는 '기업하기 좋은 도시 달성'을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