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최근 'GTX-C 노선 천안 연장'과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유치', '미래 모빌리티 국가산단 구축' 등을 포함한 충남 천안 지역 핵심 공약 6가지를 발표했다. 유치 경쟁이 치열한 국가기관을 특정 지역에 명시하며, 타 지역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제공>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유치'를 공약으로 내걸면서, 해당 기관 유치를 추진해 온 대구·광주·부산 등 타 지역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선 "대선 공약이 특정 지역에 유리하게 작용하면서 지역 간 갈등을 키우고 있다"며 소외론까지 제기하고 있다.
민주당 충남도당은 최근 '우리동네 공약' 85건을 발표했다. 이 중 천안지역 공약에 '국립치의학연구원 천안 유치'가 포함됐다. 이에 그간 유치를 희망해 온 대구·광주·부산 등은 졸지에 '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보는 신세'가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대구는 경북대 치의학전문대학원과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등 기초·임상연구 인프라를 갖춘 대표적 유치 후보지였다. 지역 의료계는 10여년 전부터 국립치의학연구원 설립을 촉구해 왔다. 정치권과 대구시도 유치전에 적극적이었다. 허탈감이 클 수밖에 없다. 대구 A치과병원 관계자는 "이는 공약을 가장한 선(先) 낙점"이라며 "균형발전이라는 국가 원칙에도 어긋난다"고 날을 세웠다.
광주 상황도 비슷하다. 전남대 치대를 중심으로 한 치의학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이 사업을 준비해 왔으나, 천안으로 무게추가 기울 것으로 예상되면서 불만이 터져나오고 있다. 부산은 부산대 치의학전문대학원, 부산의료산업진흥원, 해운대의료관광특구 등을 연계한 의료산업 인프라를 토대로 연구원 설립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문제는 국가연구기관 입지를 대선 후보가 공약 형태로 단정지었다는 점이다. 이 후보 측은 "성환종축장 부지(국가산단)를 첨단전략산업 거점으로 활용하겠다"며 치의학연구원 유치를 천안 산업 육성과 연계했다. 하지만 해당 연구원은 보건복지부 산하 국책기관이기 때문에 입지 선정은 과학적 타당성과 부처 협의가 우선돼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각에선 'TK홀대론'뿐 아니라, 영호남 및 부산권의 동반 소외론이 재부상할 가능성도 제기한다. 또 수도권과 인접한 충남에 유치하려는 것은 지방균형발전 원칙에도 어긋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대해 민주당 충남도당은 "중앙당 정책본부가 제공한 자료를 토대로 한 공약"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지역 간 형평성 문제는 대선이 가까워질수록 더 불거질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