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영양군 맹동산 풍력단지 전경. 영남일보 DB
경북 산불 피해지를 풍력에너지 집적화단지로 탈바꿈하는 재건(再建)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피해 주민의 소득원 창출은 물론 신재생에너지 구축에 따른 산불 피해 방지 효과가 기대된다.
도는 지난 3월 대형 산불로 피해가 난 의성군 등 5개 시·군에 신재생에너지를 집적화하는 '신재생e숲 조성' 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산림 재창조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풍력과 태양광 등 공공에너지를 활용한 친환경 발전 단지 조성을 목표로 한다.
사업은 피해 지역 주민과 경북도, 경북개발공사가 공동 참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주민에게는 신재생에너지 조성에 따른 소득원을 제공하고, 지역에선 발전단지를 주제로 한 관광 연계 상품 개발하는 형태다. 풍력 발전 단지 조성 이익을 지역 주민과 공유하는 상생형 모델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앞서 지난 22일 진행한 실무회의에선 신재생e숲 조성을 통한 지역 상생 전략이 논의됐다. 이날 참석자들은 피해 지역의 풍력사업 기초자료와 기존 사업과의 중복 여부, 생태자연도 등급을 검토했다. 아울러 풍력단지 내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 설치 방안 등을 자유롭게 나눴다.
도는 육상 풍력단지가 산불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풍력단지 조성에 따른 고지대 실시간 모니터링은 물론 수조 및 취수장 등 주변 부대시설이 산불 초기 진화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의견이다. 소방인력 및 장비의 신속한 진입로 접근도 기대된다.
홍석표 경북도 에너지산업국장은 "산불 피해 지역에 신재생e숲을 신속히 조성해 지역사회가 하루빨리 재건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