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의정 갈등 속 ‘의료진 신뢰도’ 반등…대구, 전국 상위권

  • 강승규
  • |
  • 입력 2025-05-25 17:24  |  수정 2025-05-25 19:50  |  발행일 2025-05-25
국립중앙의료원 조사, 진료 대기·전원 시간 개선
대구 의사 진료 신뢰도 95.8%…수도권 이어 높아
의사 진료 및 대기시간 인식 현황.<국립중앙의료원 제공>

의사 진료 및 대기시간 인식 현황.<국립중앙의료원 제공>

의정 갈등이 정점에 달했던 지난해, 대구를 비롯한 주요 지역의 응급실 진료 신뢰도는 오히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실 전원(轉院)에 걸리는 시간이 줄며, 환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도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국립중앙의료원이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8~11월까지 응급실을 이용한 만 20세 이상, 80세 미만 환자 및 보호자 4천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면접 조사결과를 25일 발표했다. 조사결과, 응급실 의사 진료에 대한 신뢰율은 90.1%였다. 전년(87.7%)대비 2.4%포인트 상승했다.


대구지역 응급실 진료 신뢰율은 95.8%로, 충북(99.1%)·서울(97.8%)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반면 울산(66.2%)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70%를 밑돌았다. 간호사의 간호활동에 대한 신뢰도 역시 지난해 91.6%로 상승했다. 대구는 이 항목에서도 90%를 웃돌았다.


연구진은 "환자의 진료 신뢰도가 높을수록 응급실 전반에 대한 만족도 역시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의료진의 태도와 설명, 처치 과정 등이 환자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했다.


전년대비 응급실 간 전원 시간도 줄었다. 외부 병원에서 대구 등 지역 응급실로 옮겨온 환자들의 평균 전원 소요 시간은 25.8분으로, 전년(31.3분)보다 5.5분 단축됐다. '15~30분 미만'과 '30~60분 미만' 소요 응답이 각각 44.0%로 가장 많았다.


진료대기 시간이 '적절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79.9%로, 1년 전(66.7%)보다 13.2%포인트 상승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평균 대기 시간은 16.4분으로, 전년도보다 1.6분 늘었다.


응급 검사 대기 시간에 대한 만족률은 82.0%로 전년(68.5%)보다 크게 상승했다. 입원이나 수술까지의 대기 시간에 대한 만족도 역시 87.6%로 소폭 개선됐다. 전반적으로 응급 처치 및 진료에 대한 긍정 응답은 91.2% 수준을 유지했다.


응급실 이용자들은 가장 잘 알고 있는 수칙으로 '의료진에 대한 폭언·폭행 금지'(83.6%)를 꼽았다. 이어 '보호자 출입 제한'(80.0%), '119 구급대 중증도에 따른 병원 이송'(75.5%), '응급실 구분 이용'(75.4%) 순이었다. 그러나 '중증도 순으로 진료' 원칙에 대한 인지도는 69.6%로 가장 낮았다.


이용자들이 꼽은 응급의료의 주요 문제점으로는 '지역사회 응급실 부족'(45.7%)이 가장 많았다. '야간·휴일 이용 어려움'(33.5%)과 '진료비 부담'(32.7%)이 뒤를 이었다.


연구진은 "응급 상황 발생 시 환자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응급의료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며 "특히 대도시 외곽과 농촌 지역의 응급의료 사각지대 해소가 핵심 과제"라고 강조했다.



기자 이미지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인기뉴스

영남일보TV



많이 본 뉴스

  • 최신
  • 주간
  • 월간

영남일보TV

더보기